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역사교과서 현대사 서술의 문제점과 대안 (Problems and Alternatives to Describing Modern History in Korean History Textbook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20.05
34P 미리보기
한국 역사교과서 현대사 서술의 문제점과 대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역사와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역사와교육 / 30호 / 151 ~ 184페이지
    · 저자명 : 허은철

    초록

    한국 역사교과서 현대 단원 서술의 기점은 1945년 8월 15일 광복이다. 광복 이후부터 지금까지 발생한 역사적인 사건들이 ‘현대사’의 시간적 범주에 들어간다. 현대사 연구는 1980년대 이후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현대사 교육은 2000년대 들어와 역사교과서의 발행이 검정체제가 되고 고등학교에서 『한국근현대사』가 역사 과목으로 신설되면서 본격화되었다. 현대사 교육이 강조되고 확대되면서 한편으로 현대사를 기술한 역사교과서의 현대 단원은 정권이 바뀔 때마다 진영 간 타협할 수 없는 사회적인 이슈가 되기도 했다.
    한국의 역사교과서 현대사 단원은 크게 ‘정치사 중심의 시대사’와 ‘북한과 통일’, ‘동아시아 갈등과 협력’이라는 3가지 주제로 기술되어 있다. ‘정치사 중심의 시대사’ 주제와 관련한 역사교과서 서술에서는 이분법적 선악 구도의 서술과 민족 또는 국가 중심의 서술이 문제이고 현대사 서술의 하한 설정 문제가 논란이 되고 있다. ‘북한과 통일’ 주제에서는 북한에 대해서는 객관적 서술과 가치 판단이 공존하는 이중적 서술을 지적할 수 있으며, 통일문제와 관련해서는 지나치게 경제 중심으로 접근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마지막으로 ‘동아시아 갈등과 협력’ 주제에서는 한중일이 상대방을 부정적으로 서술하는 한편 동아시아의 연결성은 빈약하게 서술하는 문제를 찾을 수 있다.
    이러한 한국 역사교과서의 현대사 서술 문제점을 통해 이분법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다양한 시각에서 역사교과서가 서술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민족이나 국가 중심의 서술에서 벗어나 역사적 주체로서 시민이 강조되어야 한다는 점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무엇보다 현대사 서술과 관련한 논쟁과 대립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역사교과서 논쟁이 정치적 논쟁이 아니라 역사전문가가 주도하는 학문적 논쟁이 되어야 한다. 근본적으로는 역사교육의 패러다임이 'teaching history'에서 'doing history'로 전환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The starting point of the description of the modern unit of Korean history textbooks is the liberation of August 15, 1945. Historical events from the independence to the present day fall into the temporal category of modern history. The study of modern history has been actively conducted since the 1980s, and the education of modern history began in the 2000s, and the publication of history textbooks became an examination system, and ‘Korean Modern History’ was newly established as a history subject in high school. As modern history education was emphasized and expanded, the modern unit of the history textbook describing modern history has became a social issue that could not be compromised between camps whenever the regime changed.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modern history unit is largely described in three topics: ‘political history-centered era history’, ‘North Korea and unification’, and ‘East Asian conflict and cooperation’. In the history textbook description related to the theme of ‘political history-centered era history’, the dichotomy of the composition of good and evil and the description of the nation or the nation are the problem. On the subject of ‘Unification with North Korea’, it is possible to point out some dual narratives when objective and valuable judgments coexist with North Korea, and criticism is raised that the issue of unification is too economically focused. Lastly, on the subject of ‘East Asian conflict and cooperation’, we can find the problem of Korea-China-Japan describing the other side negatively while the connectivity of East Asia is poor.
    As an alternative, it was suggested that the history textbook should be described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that citizens should be emphasized as historical subjects, away from national or national-centered descriptions. Above all, in order to resolve the debate and controversy related to the description of modern history, the history textbook debate should be an academic debate led by a history expert, not a political debate. Basically, the paradigm of history education should be changed from ‘teaching history’ to ‘doing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역사와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