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정거래위원회 플랫폼규제법안의 문제점 (A Critical Review of the Online Platform Regulation Bill in South Korea)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7 최종저작일 2024.04
33P 미리보기
공정거래위원회 플랫폼규제법안의 문제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제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제법연구 / 23권 / 1호 / 3 ~ 35페이지
    · 저자명 : 주진열

    초록

    온라인 플랫폼 시장은 이커머스 외에도 인공지능(AI), 반도체, 모빌리티, 디지털 헬스케어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있고, 어떤 시장보다도 복잡하고 역동적이므로, 독과점 또는 시장지배력과 관련해서는 폐해에 대한 피상적 이론이 아니라 현실의 객관적 증거에 근거하여 신중한 고려를 거쳐 규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데 2023년 12월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는 「(가칭)플랫폼 경쟁촉진법」을 추진한다고 밝히면서,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독점규제법’)로는 플랫폼 독과점 폐해 규제가 어려워 규제 대상 사업자를 미리 정하고, 자사우대, 멀티호밍 제한 등 반칙행위에 대해서는 법률로 경쟁제한성·위법성을 추정하겠다고 하였다. 그러나 플랫폼 여부를 불문하고 경쟁보호를 목적으로 하는 경쟁법상 합리의 원칙에 따르면, 자사우대 등 공정위가 반칙행위라고 칭한 행위의 경쟁제한성은 침익적 행정처분을 하려는 공정위가 증명해야 하며, 플랫폼 시장에서 티핑(Tipping) 가설을 고려하더라도 사업자에게 경쟁제한성 없음을 증명하라고 할 수 없다. 합리의 원칙을 형해화시키는 플랫폼경쟁촉진법안은 그 이름과 달리 경쟁을 왜곡할 위험이 크다. EU와 독일 등 해외 플랫폼 규제입법 배경은 한국 실정과 다르므로, 비판적 검토 없이 외국 플랫폼규제론을 수입하는 것은 부적절하다. 플랫폼 독과점 티핑 가설은 현실에서 검증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공정위가 이러한 가설을 현실처럼 인식하면 잘못된 규제가 나올 수밖에 없고, 규제 오류는 AI 등 여러 분야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다.

    영어초록

    The online platforms are not confined solely to e-commerce but extends across diverse domains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AI), semiconductors, digital healthcare, and mobility. Given the complexities of the platform markets, any regulatory intervention must be approached with objetive evidence rather than speculative theories. In December 2023, the Korean Fair Trade Commission(KFTC) announced that it would make the so-called “Platform Competition Promotion Act” (PCPA) based on the so-called “tipping effect”, which disregards the rule of reason in competition law. Under the PCPA, the KFTC may condemn certain practices, such as the so-called “self-preferencing”, without requiring proof of anticompetitive effects. Regrettably, the KFTC appears to rely excessively on speculative theories on platform monopolies. Despite its name, the PCPA may distort platform competition. The KFTC should deal with issues of platform monopolies with real-world evidence under the rule of reason rather than the dubious tipping theory. Otherwise, developments in not only platform but also related areas such as AI, digital healthcare, and mobility would be impaired by the KFTC’s misguided regul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