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명량해전 직전 조선 수군의 폐지 문제에 대한 재검토 (Reexamination of the issue of the abolition of the Joseon navy before the Battle of Myeongnyang)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21.10
22P 미리보기
명량해전 직전 조선 수군의 폐지 문제에 대한 재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육군사관학교 화랑대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군사학논집 / 77권 / 3호 / 361 ~ 382페이지
    · 저자명 : 이종화

    초록

    이순신이 명량해전을 앞두고 조정의 수군 폐지 명령에 반대하여 ‘지금 신에게 전선이 아직 12척이 있사오니(今臣戰船尙有十二)’라는 글을 써서 선조에게 장계로 올렸다는 이야기는 널리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일부 역사학자들은 이러한 글이 적힌 장계가 보성의 열선루에서 작성되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연구는 주장의 근거가 미흡할 뿐만 아니라 반론도 존재한다.
    먼저, ‘상유십이(尙有十二)’와 유사한 글이나 수군 폐지에 대한 언급이 있는 기록들은 대체로 통제사 이순신이 경상우수사 배설로부터 배를 인수한 이후 또는 어란도해전 이후에 조정으로부터 수군 폐지 명령을 받은 것으로 서술하였다. 이는 보성 열선루에서 수군 폐지를 반대하는 ‘상유십이’ 장계를 올렸다고 주장하는 학자들의 견해와 시기적으로 모순이 된다.
    그리고 「난중일기」1597년 8월 15일의 기록을 살펴보면, 선전관 박천봉이 보성 열선루로 가져온 유지의 내용과 이순신이 이에 대하여 회신한 장계의 내용에 대해 어떠한 언급도 하지 않았다. 그러나 보성 열선루에서 ‘상유십이’ 장계를 올렸다고 주장하는 학자들은 명확한 근거도 없이 ‘상유십이’ 관련 기록과 「난중일기」의 기록을 연결하여 그 유지와 장계의 내용을 임의로 단정하고 있다. 그러나 「선조실록」의 8월 5일 기사와 「사대문궤」의 8월 5일 기록에 따르면 당시 조선 조정은 해로가 비게 될 것을 염려하여 남아 있는 수군 병력을 최대한 활용하는 결정을 내렸다. 선전관 박천봉이 보성 열선루로 가져온 8월 7일자 유지에는 이와 관련한 내용이 적혀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만일 그러한 내용이 적혀 있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조정이 8월 5일의 논의에서 해로가 비게 되는 사태를 피하려는 결정을 내린 이상 선전관이 가져온 8월 7일자 유지에 수군으로 하여금 육지에서 싸우도록 하는 명령이 실려 있었다고 볼 수 없다.
    또한 「선조실록」의 8월 15일과 9월 5일 기사에 따르면, 조정은 전황이 점차 불리하게 돌아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수군을 육지가 아닌 바다에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임진왜란 초기부터 시행된 수군 전략과 명나라 수군의 파병 계획까지 감안하면 조정이 수군 폐지 명령을 내렸을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당시 병조판사를 지낸 이항복이 저술한 “고통제사이공유사”의 경우는 다른 기록들과 달리 조정이 아닌 경상우수사 배설이 육지에서 싸우자는 말을 했다고 서술하였다는 점은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본 논고는 명량해전 직전에 있었던 수군 폐지와 ‘상유십이’에 대해 언급한 여러 기록과 관련 자료들을 검토하여 이 문제를 고찰하였다.

    영어초록

    It is widely known that Yi Sun-sin(李舜臣) submitted a Jang-gae(狀啓), in which he wrote ‘Still there are 12 warships’, in opposition to the government's order to abolish the navy ahead of the Battle of Myeongnyang(鳴梁). And some historians claim that the place where the Jang-gae was written was Yeolseonnu(列仙樓) in Boseong(寶城). However, the research of whether this is true or not is still insufficient and there are even counterarguments. This paper intends to consider this issue by examining the records mentioned on the abolition of the navy and various related historical materials.
    Historical records mentioning ‘Still there are 12 warships’ or ‘the abolition of the navy’ generally described that Yi Sun-sin was ordered to abolish the navy by the government after he took the warships or after the Battle of Eorando(於蘭島). However this description contradicts the views of scholars who claim that Yi Sun-sin wrote the Jang-gae against the abolition of the navy at Yeolseonnu in Boseong. And there is even a record described that the abolition was mentioned by a general, not by the government.
    According to the article on August 5th 1597 in 『Annals of King Seonjo(宣朝實錄)』, on that day the government made the decision to make the best use of the remaining navy forces, fearing that the sea route would be empty. Therefore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government's order dated August 7th 1597, which was brought to Boseong(寶城) by a military officer Park Cheon-bong(朴天鳳), was written about the decision of the government.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articles on August 15th and September 5th 1597 in 『Annals of King Seonjo』, the government still sought to utilize the remaining navy forces in the sea, not on land despite the increasingly unfavorable war situation. As far as the naval strategy implemented from the early days of Imjin War(壬辰倭亂) and the troops planned to be dispatched from the Ming Dynasty are considered, there is little possibility that the government ordered the abolition of the nav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군사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