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자식 해상적하보험증권에 대한 법이론의 검토 (The Review of Legal Theory on the Electronic Marine Cargo Insurance Polic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6 최종저작일 2011.05
31P 미리보기
전자식 해상적하보험증권에 대한 법이론의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재산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재산법연구 / 28권 / 1호 / 227 ~ 257페이지
    · 저자명 : 송호신

    초록

    전자식 해상적하보험증권은 전자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국제무역에서 컴퓨터와 EDI 그리고 E-mail 등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가 출현하였고, 그로 인해 전자무역이 확대되었음을 그 배경으로 들 수 있다.
    해상운송에서 국제무역의 전자화와 관련된 주요 3대 업무는 운송과 금융 및 보험의 세가지 분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운송과 금융과 관련된 전자화와 함께 보험분야에서 전자식 보험계약에 따라 발행되는 보험증권이다. 전자무역에는 화물을 운송하는 중에 발생할지도 모르는 위험에 따르는 손해를 대비하기 위한 보험업무를 필요로 하는데, 손해보험사 등은 전자식 해상적하보험증권을 발행함으로써 보험업무를 전자화하고 있다.
    전자식 해상적하보험증권은 해상운송에서 적하보험계약의 내용을 전자적으로 기록하고, 보험자가 전자서명하여 보험계약자에게 전자식으로 교부함으로써 성립하는 보험증권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즉 보험회사는 보험계약이 성립된 때 혹은 보험계약의 성립 이후에 보험계약자의 청약내용을 확인하는 등 청약서를 심사하고 보험요율을 적용한 후에, 전자식 해상적하보험증권을 발급하여 전자서명을 한 다음 EDI로 전자증권 발급통지서를 보험전산망을 통하여 무역망으로 송신한다. 무역망에서는 해당 보험사의 메일박스에 저장하여 수신처를 확인하고, 해상적하보험증권을 보험계약자에게 송신함으로써 발급한다.
    전자식 해상적하보험증권은 종이 해상적하보험증권의 성질과 마찬가지로 요식증권성ㆍ면책증권성ㆍ증거증권성ㆍ상환증권성ㆍ유인증권성ㆍ유가증권성 등의 성질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 종이식 해상적하보험증권이 갖는 법적 지위를 인정할 수 있다고 본다. 종이식 해상적하보험증권의 경우와 마찬자기로 전자식 해상적하보험증권의 발행은 전자식 해상적하보험계약의 성립요건은 아니다.
    또한 전자식 해상적하보험증권은 그 증거성이 인정되고, 보험증권의 문서성이 인정되어 원본서류와 같이 취급된다고 볼 때에 그 양도성도 인정된다고 보아야 한다. 다만 전자식 배서를 통하여 보험계약상의 권리가 이전되는 효력이 발생하는지와 자격수여적 효력을 인정할 것인지에 대해 명문의 규정이 없다.
    우리나라는 그 동안 IT분야의 발전과 전자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여러 분야 법제도의 개편과 정비를 진행하여 왔다. 즉 2007년 상법 개정시에 상법 제862조 전자선하증권과 제863조 해상화물운송장의 발행이 신설되면서 운송서류의 전자화 입법이 단행되었다. 그러나 보험증권의 전자화 부분에서 대해서는 2008년 상법 보험편 개정안에서도 침묵하고 있다. 전자식 해상적하보험증권에 대해서도 유사한 전자화 입법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 위치는 상법 제4편 보험편 제2장 손해보험 제4절 해상보험 제695조 해상보험증권」의 규정 내에 전자화에 대한 명시적 근거 조항을 신설하는 것이 가능하다.

    영어초록

    Electronic Marine Cargo Insurance Policy is related on the issue of the electronic securities to the insurance contract. In the era of Electronic Trade, the axis of the three kinds of electronic trading are maritime document, electronic funds transfer, and insurance.
    In 2007, to support this, revised to Commercial Act, that regulated on the electronic bill of lading provisions under the article 863, and the electronic sea waybill provisions under the article 864(1). However, for Electronic Marine Cargo Insurance Policy was no legislative provision. Then, has not yet received legal support. Therefore, using EDI Marine Cargo Insurance Policy if the contract was signed that applies to general insurance contract law regulations of Electronic Marine Cargo Insurance Policy that can be applied as a matter may be.
    Explicit regulations on Electronic Marine Cargo Insurance Policy is necessary to prepare. And it is need to contain needs to the Validity of electronic insurance contract, the evidence and authentication, and marine cargo insurance policy and more specific regulations on the transfer of responsibilities and so on. Electronic Marine Cargo Insurance Policy in the nature of the securities that can be granted only through legislation is effective.
    Electronic Marine Cargo Insurance Policy in the maritime transport policy to replace the paper one of the electronic document has been our strong belief that, to the opposite opinion about the legal effect is almost difficult to find. Nextly, understanding the coordination and agreement of the parties to ensure the fairness of the system to decide the law as a mandatory provision for the maintenance of support should be required by law.
    Such as maritime transport documents can be regarded as similar legislation. However, the provision is located, in the 「Commercial Code Part 4(Insurance Contract) Chapter 2(liability insurance Marine) Section 4(Insurance Policy Marine Insurance) article 695」 will be regarded as desirab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