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근현대 서예의 미학적 지향 (Aesthetic orienta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calligraph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24.09
34P 미리보기
한국 근현대 서예의 미학적 지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예학연구 / 45호 / 67 ~ 100페이지
    · 저자명 : 장지훈

    초록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이후 한국 근현대 서화가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근현대 서예의 미학적 동향을 조명하였다. 한국의 근현대 서예는 이전과 달리 한 세기 동안 유변(流變)이 거듭되었다. 개화기(1876-1910), 일제시기(1910-1945), 국전 및 민전시기(1945-2000), 밀레니엄시기(2000-현재)를 통해 시대 상황에 따라 서화계의 활동도 다양하게 전개되었다. 이러한 흐름을 대략 3기로 구분하였다.
    첫째, ‘신(神)’서예문화의 시대이다. 개화기의 서예는 청대의 금석학 및 고증학의 영항과 종래 서풍의 계승이 복합적이었다. 그러다 일제강점기에는 항일과 친일의 성향으로 나뉘어졌다. 항일파의 서체는 주로 선비다운 절의와 기세가 강한 반면, 친일파의 서체는 대체로 유연하면서도 부화(浮華)한 속기가 두드러진다. 이 시기는 예술로서의 서화 촉진과 발전보다는 민족과 반민족 정서가 혼재된 가운데 정신문화로서의 서예 인식과 활동이 강하였다.
    둘째, ‘신(伸)’서예문화의 시대이다. 이 시기는 국전이라는 등용문을 통해 서예가를 희망하는 인구가 늘어났으며, 전국의 사설 서예교육기관 설립도 증가하였다. 1970년대는 서예인들의 단체가 결성되기 시작하면서 저변이 확대되었다. 1988년 예술의전당 서예관 개관, 1989년 대학의 서예학과 설립, 1992년 한 ․ 중 수교 등에 의해 서예의 황금기를 맞았다. 광복 이후 반세기 동안은 국전의 순기능과 역기능 속에서 양질의 신장(伸張)을 이루었다.
    셋째, ‘신(新)’서예문화의 시대이다. 밀레니엄을 기점으로 서예는 예술의 정체성을 상실하지 않는 한 기존의 체제를 고수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진일보하였다. 고법에 얽매이지 않고 서예의 생명력을 불어넣는 과감한 필획을 구사하며, 자유분방한 결구와 장법 등을 운용하여 전통을 재해석하였다. 따라서 현재의 서예는 원형의 재해석을 통한 전통의 계승과 창신, 창신을 통한 파격, 한글서예의 예술화 등을 지향하는 가운데 혁신(革新)을 거듭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highlighted the aesthetic trends of modern and contemporary calligraphy,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calligraphy artists after Japanese colonial era. Modern and contemporary calligraphy in Korea has undergone changes over the past century, unlike before. Through the enlightenment period (1876-1910),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1910-1945), the national and civil wars (1945-2000), and the millennium period (2000-present), various activities of the calligraphy world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of the times. This trend was roughly divided into three periods.
    First, it is the era of 'Shin (神)' calligraphy culture. Calligraphy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was a combination of the Qing Dynasty's gold and stone studies and the succession of the traditional Western style. The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it was divided into anti-Japanese and pro-Japanese tendencies. The calligraphy style of the anti-Japanese group is mainly of the scholar-like bowels and strong momentum, while the calligraphy style of the pro-Japanese group is generally flexible and luxurious. During this period, calligraphy recognition and activity as a spiritual culture were strong in the mixture of national and anti-national emotions rather than promoting and developing calligraphy as art.
    Second, it is the era of 'Shin (伸)' calligraphy culture. During this period, the number of people wishing for calligraphers increased through the entrance of Gukjeon, and the establishment of private calligraphy education institutions nationwide also increased. In the 1970s, the base expanded as calligraphers' groups began to be formed. The golden age of calligraphy was reached by the opening of the Calligraphy Center at the Seoul Arts Center in 1988, the establishment of the calligraphy department at the university in 1989, and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in 1992. For half a century after liberation, high-quality growth (伸張) was achieved in the pure and dysfunctional functions of Gukjeon.
    Third, it is the era of 'Shin (新)' calligraphy culture. Starting with the Millennium, calligraphy has progressed in that it does not adhere to the existing system unless the identity of art is lost. It reinterprets tradition by using bold strokes that breathe life of calligraphy without being bound by the old law and operating freewheeling conclusion and method. Therefore, the current calligraphy is innovating while aiming for the inheritance and creation of tradition through reinterpretation of the original, unconventional through creation, and the artification of Hangul calligraph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예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