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봉건제를 둘러싼 소련 시대의 시대구분 논쟁 (Debates over the periodization of feudalism in the Soviet era)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21.06
26P 미리보기
봉건제를 둘러싼 소련 시대의 시대구분 논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 수록지 정보 : 슬라브학보 / 36권 / 2호 / 179 ~ 204페이지
    · 저자명 : 조호연

    초록

    이 논문은 러시아 혁명을 전후로 러시아 역사에서 봉건제를 둘러싼 시대구분과 관련된 문제가 어떻게 논의되었는지 살펴보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러시아 혁명은 다른 역사 주제와 마찬가지로 시대구분 문제에서도 근본적인 과제를 부여하였다. 제정 러시아 시기의 시대구분은 부정되었고, 마르크스주의에 따라 새로운 시대구분론이 정립되어야 했다. 그러나 소련 초기 역사학계에서 가장 비중이 컸던 포크롭스키가 집필한 러시아사 개설서에서도 만족스런 시대구분론이 제시되지 못하였다. 오히려 1920년대 후반부터 1930년대 초에 전개된 시대구분 논쟁을 통하여 포크롭스키 역사학은 반마르크스주의적이며 반학문적이라는 비난을 받고 축출당하게 되었다. 소련에서는 1930년대에 스탈린 역사학이 정립됨으로써 봉건제를 둘러싼 새로운 시대구분론이 정리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스탈린의 『소련 공산당(볼셰비키) 역사 간략독본』은 중대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전문 학자로서는 그레코프의 연구가 스탈린주의 역사학과 공존하면서 봉건제를 둘러싼 논란을 해결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하였다. 그의 연구로 인하여 소련에서는 키예프 루시부터 봉건제 시기로 규정되었으며, 러시아사에서 노예제를 거치지 않고 봉건제로 이행되었다는 입장이 정립되었다. 그레코프의 입장은 고고학적 발굴성과와 다양한 사료를 활용했을 뿐만 아니라, 비교사적 방법을 이용하였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받았다. 1940년대 후반부터 1950년대 초반까지 전개된 시대구분 논쟁은 봉건제의 기본 성격을 둘러싸고 전개되었다. 바질레비치는 사회경제사적 측면에서, 그리고 그를 비판한 드루쥐닌과 스미르노프는 정치적 상부구조의 측면에서 봉건제 시기를 규정하고자 하였다. 반면에 파슈토와 체레프닌은 사회경제사와 정치사적 요인을 종합하는 방향으로 봉건제를 이해하였다. 그리하여 소련 역사학계는 봉건제 시대구분 문제에서 시기와 성격 면에서 어느 정도의 합의를 볼 수 있었다. 그렇지만 봉건제의 기본 법칙과 자본주의의 기원과 같은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채 많은 논란을 낳고 있었고, 따라서 그 이후의 시기에 소련 역사학자들은 시대구분과 관련된 다양한 문제들을 두고 많은 논쟁을 벌이게 되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how the issues related to the periodization surrounding the feudal system in Russian history were arranged before and after the Russian Revolution. The Russian Revolution, like other historical subjects, raised a fundamental task in the field of periodization. The periodization theories of the Tsarist Russia period before the revolution were denied, and a new period periodization theory had to be established according to Marxism. However, even by M. N. Pokrovskii, who had the most weight in the history of the Soviet Union in the early days of the Soviet Union, a satisfactory periodization theory was not presented. Rather, through the debate that developed in the late 1920s and early 1930s, Pokrovskii's historiography was criticized for being anti-Marxism and anti-scholarship. In the Soviet Union, with the establishment of Stalin's historiography in the 1930's, a new periodization theory surrounding feudalism could be organized. In this process, Stalin's books and articles played a significant role. As a professional scholar, B. D. Grekov's works coexisted with Stalinist history and mad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resolving the controversy surrounding feudalism. His research established the position that the period of feudalism started from Kiev Rus, and that feudalism did not go through slavery in Russian history. Grekov's position was highly praised for not only using the results of archaeological excavations and various historical sources, but also for using a comparative historical method. The periodization debates that developed from the end of 1940’s to the beginning of 1950’s developed over the basic nature of feudalism. K. B. Bazilevich tried to define the feudal period in terms of socioeconomic history, and his critics, N. M. Druzhnin and I. Smirnov, in terms of the political superstructure, whereas V. Pashto and L. Cherepnin synthesized socioeconomic history and political historical factors. In my opinion, Soviet historians were able to reach a certain level of agreement in terms of timing and nature on the issue of feudal periodization. However, issues such as the basic laws of feudalism and the origins of capitalism were still unsolved and caused a lot of controversy, and in the subsequent period, Soviet historians argued a lot about various issues related to the period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슬라브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