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쟁(和諍)과 일심(一心): 원효 사상에서의 평화와 통일 (Hwajaeng(和諍) and Ilsim(一心): Peace and Unification in Wonhyo's Thoughts)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5 최종저작일 2010.05
24P 미리보기
화쟁(和諍)과 일심(一心): 원효 사상에서의 평화와 통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상학회
    · 수록지 정보 : 정치사상연구 / 16권 / 1호 / 171 ~ 194페이지
    · 저자명 : 김석근

    초록

    이 글에서는, 거의 선험적으로 원효에 따라다니는 신화와 금기, 내지는 아우라(후광)를 잠시 벗겨두고서, 그 시대를 온 몸으로 살아간 모습에 다가가고자 했다. 특히 ‘화쟁’(和諍)과 ‘일심’(一心)이라는 핵심 개념을 집중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했다. 그런 사유체계가 그 시대에 어떤 사회적 의미를 가질 수 있었는지, 또한 그 시대와 관련해서 어떻게 ‘해석’될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생각해보았다.
    원효가 살았던 시대는 세 나라(고구려, 백제, 신라)가 끊임없이 각축하고 항쟁하는 대립과 갈등을 거쳐 '일통삼한'(一統三韓)에 이르는 시대에 다름아니었다. 전쟁은 일상화되고, 죽음은 현재화되고 있었다. 일통삼한 이후의 과제는, 체제라는 측면에서 보자면 행정체계의 정비, 이른바 ‘왕권의 전제화’, 그리고 어제까지 적으로 싸우다 오늘은 한 지붕 밑에서 같이 살아야 하는 사람들을 위한 이념체계, 즉 ‘통합의 철학’이 필요했다고 하겠다.
    그런 시대 속에서 원효의 <십문화쟁론>을 내놓았다. 화쟁이 필요하다는 것. 그에게 화쟁은 어떤 구체성과 체계성을 가진 특별한 사상체계라기 보다는 일종의 철학적 ‘방법’과 ‘논리’라 할 수 있었다. 오늘날의 용어로 말한다면 화쟁은 ‘소통’(疏通, mutual understanding or communication)에 가깝다. 하지만 연원을 거슬러 올라가보면 같은 근원, 다시 말해 ‘여래의 원음’ 혹은 ‘부처의 뜻’(佛意)에서 비롯되고 있다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다. 또한 화쟁에는 소통 행위를 통해서 궁극적인 목적지에 이르고자 하는 적극적인 에토스가 작동하고 있다. 소통은 화쟁의 일부분이자 동시에 기나긴 과정의 한 단계라 하겠다. 화쟁을 거쳐서 도달하고자 한 일심의 세계, 그것은 곧 부처의 올바른 ‘진리’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원효의 화쟁과 일심의 사유체계는 ‘일통삼한’ 과정에서 드러난 여러 가지 문제들, 예컨대 ‘전쟁의 일상화’와 ‘죽음의 현재화’를 통해서 한없이 고통받았던 사람들의 마음의 상처를 부처의 가르침에 의거해서 치유할 수 있는 논리, 나아가서는 정치적 제도적 통일을 넘어서 ‘정신적인 통일’과 ‘마음의 통일’을 도모하고자 하는 거시적인 사회사상으로 바라볼 수 있지 있지 않을까 한다. 현실적으로는 어제까지 적으로 싸우다 오늘은 한 지붕 밑에 같이 살아야 하는 사람들을 위한 이념체계, 즉 ‘화해의 논리’와 ‘통합의 철학’ 정도로 해석될 수도 있지 않을까 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going to focus on Wonhyo(元曉, 617-686)'s Hwajaeng(和諍) and Ilsim(一心), and try to find its social meaning and implication in his age, and how to interpret the message of Wonhyo's thoughts with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Beyond myths and taboos on Wonhyo, this paper will try to approach to the reality of his life.
    The age of Wonhyo was that of constant severe conflicts and wars among three Kingdoms, and the political unification of them by Shilla. War and death were was every where everyday life. After the political unification, It was necessary to build the systematization of state administration and 'the philosophy of integration', the ideal for peoples who had fighted for a long time.
    Wonhyo lived his age honestly and seriously. He wrote Sibmun Hwajaengron(十門和爭論), the Reconsiliation of ten disciplines. To Wonhyo, Hwajaeng was a kind of philosophical method and logic than a special and systematic thoughts. We can understand it as 'mutual understanding' or communication(疏通). But they are different from in two aspects, Hwajaeng has a common factor of the same resourse, namely the Buddha's teaching, and a positive ethos to reach the ultimate goal through the communication. 'Mutual understanding' or communication is a part of Hwajaeng and a stage of long process. The world of Ilsim can be reached through Hwajaeng is the Buddha's right Truth itself.
    Therefore we can see Wonhyo's thoughts of Hwajaeng and Ilsim as a macro social philosophy that could sovle various problems such as the everyday's war and death, and give a logic and method of to treat the people's broken mind which had been hurt and suffered by Buddha's teaching. Futhermore Wonhyo's thoughts of Hwajaeng and Ilsim could be a logic of reconsiliation and a philosophy of integration beyond the political and institutional unification for the people who had fighted for a long time but had been to live within the same political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정치사상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