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군인의 자살과 책임법리의 재정립 (Reconstruction of Responsibility Doctrine for Soldiers’ Suicid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23.11
41P 미리보기
군인의 자살과 책임법리의 재정립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민주법학 / 83호 / 11 ~ 51페이지
    · 저자명 : 이재승

    초록

    이 글의 목적은 군인의 자살에 대한 공동체의 책임을 강화하려는 데에 있다. 징병제를 유지하는 한국 사회에서 보통 사람들은 자살한 군인과 유족에게 깊은 공감과 책임감을 느끼지만, 보훈 당국은 전통적인 상무주의 시각에서 자살에 대한 국가책임의 인정에 대해 소극적인 태도를 견지해 왔다. 2012년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은 정신질환을 겪지 않은 군인의 우발적인 자살에 대해 국가책임을 인정함으로써 새로운 전환점을 만들었다. 이 판결을 전후하여 몇 차례 법을 개정하였으나 보훈법제는 아직 규범적 정합성이나 보편성에 이르지 못했다. 자살 법리의 패러다임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문제를 어떻게 연결하는지에 있다. 첫 번째 문제는 자살이 자유로운 의지의 결정인지 아닌지이다. 두 번째 문제는 누가 유가족의 생계를 밑받침할 것인지이다. 첫 번째 문제에 대한 판단에 입각하여 두 번째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이 윤리적 또는 자유주의적 패러다임이라고 한다면, 첫 번째 문제와 두 번째 문제의 직접적인 연결을 제한하고 두 번째 문제를 주목하는 방식이 사회적 또는 공동체적 패러다임이다. 사회적 또는 공동체적 패러다임은 군인의 자살을 죄책의 문제로 사고하는 대신에 공동체가 인수해야 할 불가피한 위험으로 파악한다. 2022년 의무복무 군인의 자살에 대해 국가책임을 강화하는 법제개혁이 이루어졌다. 아직은 지켜보아야 하겠지만 보훈법제가 윤리적 책임론에서 공동체적 책임론으로 한 걸음 내딛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rengthen the community's responsibility for soldiers' suicide. In Korean society, which maintains the mandatory conscription system, the ordinary people feel a deep compassion and responsibility for the self-destructed soldiers and their bereaved families, but veterans authorities have maintained a passive attitude toward recognition of state responsibility for suicide in traditional martialist view. In 2012, the Supreme Court's en banc ruling changed the existing legal principles by recognizing state responsibility for accidental suicide of soldiers who did not suffer from mental illness. Several law revisions were made before and after this ruling, but the veterans legislation has not yet reached normative consistency or universality. The paradigm of legal principles on suicide lies in connecting or disconnecting the following two problems. The first problem is whether suicide is a decision of free will or not. The second problem is who should socially support livelihood of the bereaved families. If the ethical or liberal paradigm is to solve the second problem based on the judgment of the first problem, the social or community paradigm is to limit the direct linkag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roblems and focus on the second problem. Instead of thinking of suicide as a matter of guilt, the social or community paradigm identifies the suicide of a soldier as an inevitable risk that the community must take over. In 2022, veterans legislation was revised to strengthen state responsibility for the suicide of compulsory soldiers. It remains to be seen, but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Veterans legislation has taken a step from ethical responsibility to community responsibi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