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헤게모니 균열’의 문제설정에서 본 현대한국 정치변동의 재해석: 그람시의 헤게모니론의 재해석에 기초하여 (Re-analysis of the contemporary political change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issure of hegemony’―based on the re-interpretation of the A. Gramsci’s theory of hegemony)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08.02
44P 미리보기
‘헤게모니 균열’의 문제설정에서 본 현대한국 정치변동의 재해석: 그람시의 헤게모니론의 재해석에 기초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국립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마르크스주의 연구 / 5권 / 1호 / 90 ~ 133페이지
    · 저자명 : 조희연

    초록

    이 글은 그람시의 헤게모니에 대한 논의를 출발점으로 하여 그것을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헤게모니 균열’의 분석틀을 설정했다. 그람시의 논의를 확장하게 되면, 헤게모니의 구성적 과정은 세 가지로 정식화할 수 있다. 즉 지배적 집단의 이해와 지향이 보편화되는 과정, 지배적 집단이 호명하는 집단성이 종속적 집단의 정체성을 규정해가는 집단화의 과정, 이러한 보편화와 집단화를 근거짓는 경제적 이해관계의 접합과정이 바로 그것이다. 그런데 이 글이 독창적으로 주목하는 것은, 헤게모니는 영속적인 과정이 아니라 변화하는 유동적 과정이라는 점, 그래서 헤게모니의 구성적 과정과 동일한 세 가지 차원에서 균열이 나타나게 된다는 것이다. 즉 종속적 집단과 지배적 집단의 요구와 지향의 괴리가 부각되게 되는 ‘탈보편화과정’, 지배집단이 구성한 집단적 정체성에 대한 종속집단의 귀속이 균열되는 ‘탈집단화과정’, 그리고 물적 조건의 변화에 따라 지배집단과 종속집단의 이해관계의 균열이 현재화되는 과정 등이다. 헤게모니의 형성이 ‘동일성의 정치학’이 작동하게 되는 것이라고 한다면, 헤게모니의 균열은 ‘차이의 정치학’이 작동하게 됨을 의미한다.
    이런 논의 위에서 현대 한국의 정치변동을 개발독재의 헤게모니화 과정 및 그것의 균열과정, 87년 6월 민주항쟁 이후의 수동혁명적 민주화과정에서 시민사회의 출현과 민주개혁을 둘러싼 시민운동의 구성적 출현, 수동혁명적 과정의 균열에 대응하는 시민운동의 확대와 다양화, 97년 반독재 민주정부의 출현 이후 반독재 민주주의의 헤게모니의 균열과정을 살펴보고자 했다.

    영어초록

    This paper starts with the A. Gramsci’s theory of hegemony and reconstructs it to cover the ‘fissure of hegemony’ or crisis of hegemony. If we base ourselves on the Gramsci’s theory of hegemony and expand it, we can reformulate the process of hegemony formation as three different dimensions. The first dimension is the process of universalization, in which the interest and orientation of the dominant group are generalized to accepted by the subordinate group as those of their own. The second is the process of collectivitization, in which the collective identity(e.g. nation) called by the dominant group are accepted by the subordinate group with the result to define the collective identity of the latter. The third is the process of convergence of different economic interests of the dominant and subordinate groups. For example, in the earl stage of economic modernization process driven by the bourgeoisie, the proletarian people found their economic interest identified with that of the bourgeoisie. Beyond this discussion, this paper pay a new attention to the crisis or fissure of the hegemony, which means that the hegemony is not a stable one but a very fluid one, necessarily exposed to its crisis.
    This kind of fissure or crisis occurs on the same 3 dimensions. On the first dimension, there happens the process of de-universalization, in which the conflict and tension between the interests and orientations of the dominant and subordinate groups are perceived and brought to the fore. The subordinate group members do not accept the dominant discourse any more. On the second dimension, there happens the process of de-collectivitization, in which the commitment of the people of the subordinate group to the dominant collective identity is weakened. In addition, on the third dimension, the commonness of the interests of the dominant and subordinate groups gets smaller in the material change. The contradiction between them are manifested and conflict between them becomes more rampant. This means that, while the politics of the sameness works in the process of hegemony formation, the politics of difference works in the process of hegemony fissure or crisis.
    Based on this kind of theoretical discussion, this paper goes on to analyze how the developmentalist hegemony has been formed under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in the 1960s and 1970s, and how such hegemony came to crisis in the late 1970s and 1980s. Confronted with the crisis of breakdown of the military dictatorship, the dictatorial government accepted the popular demand for democracy in the form of June 29 Declaration, by the help of which the anti-dictatorial democracy became a new hegemonic spirit, or the world view in the broader sense. Under the background of such a change, it was analyzed how the new citizen who shares the common interest and orientation in enhancing the transparency, democratic reform of the dictatorship legacy and construction of the democratic system, as the democratization of the passive revolution type proceeds. Thereafter, this paper goes on to analyzed how the hegemony of the anti-dictatorial democracy group has been disintegrated, after the emergence of the anti-dictatorship government in which some forces f the former anti-dictatorial opposition group keeps the state power. In concrete, the democracy discourse as perceived hegemonic began to be disintegrated. People began to say that democracy, transparency, and morality does not feed people. In addition, the hegemonic collective identity of the citizen began to be weakened, because the citizen has been fragmented by the so-called neo-liberal globalization into e.g. regular and irregular workers or Korean workers and migrant workers as excluded by ethnicity. Finally, Because it seemed to the ordinary people that the support of anti-dictatorial democratic government does not guarantee their economic interests further, most of them began to support the neo-conservative government, defecting from the support of it. It meant that the convergence of economic interest among ordinary citizens in the stage of the democratic reform after 1987 has come to disintegration. In this analysis, the hegemony is the job of the relation between social and political groups in conflict and hegemony implies the potential of fissure and crisis in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마르크스주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