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헌법개정논의에 대한 재검토 (Rethinking the Discussion on Constitutional Revision - Focused on Four-Year, Two-Term Presidential System and Decentralized Government System -)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8.02
38P 미리보기
헌법개정논의에 대한 재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비교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공법학연구 / 19권 / 1호 / 45 ~ 82페이지
    · 저자명 : 정만희

    초록

    현행 헌법이 1987년 채택되어 30년 이상의 운용과정을 거치면서 개헌논의는 20년 전부터 정치권에서 시작되었으며, 최근에는 많은 국민들이 개헌문제에 대해 관심을 보이고 있다. 한국의 정치사회에서 현행 헌법의 개정논의는 초기에는 정부형태 분야에 한정하여 정치인들이 선거과정을 배경으로 정략적인 이유로 제기된 것이었으나, 2009년부터는 국회를 중심으로 헌법개정연구를 위한 자문위원회 활동이 전개되면서 개헌논의는 공론화되기 시작하였다. 그리하여 현 시점에서의 개헌논의의 성과는 국회의 헌법개정에 관한 2009년과 2014년의 자문위원회 보고서를 비롯하여 학계와 시민단체 등에 의한 헌법 전반에 걸친 문제점 분석과 헌법개정의 방향을 제시하는 연구결과보고서 등이 상당한 수준으로 축적되어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2016년 이후 한국의 급격한 정치상황의 변화와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사건을 계기로 헌법개정의 실현가능성은 그 어느 때보다도 높다고 할 수 있으며, 여론조사에서도 개헌에 대한 국민 다수의 적극적 의사가 나타나고 있다. 2017년 5월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면서 2018년 6월 지방선거와 동시에 개헌 국민투표를 실시하겠다고 개헌일정을 밝혔으나 여야간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개헌시기는 지연될 가능성이 크다. 그러나 개헌에 관한 국민의 공감대가 형성된 이상 개헌을 계속 늦출 수 는 없으며, 개헌의 대상에 있어서는 전면적 개헌은 쉽지 않으므로 정부형태를 중심으로 하면서 국민적 합의가 이루어지는 일부 대상으로 한정하는 부분적 개헌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 필자는 개헌논의의 핵심 쟁점인 정부형태에 관하여 지금까지의 개헌논의의 전개과정과 최근 2018년 1월 공개된 국회 개헌특별위원회 자문위원회 보고서를 분석하면서 정부형태의 개헌방향에 관한 필자의 견해를 다시 한번 정리해서 밝히도록 한다. 필자는 그동안 개헌문제에 대해 발표한 몇 편의 논문을 통해 이원정부제 개헌에 대한 신중론의 입장과 대통령 4년중임제 개헌을 일관되게 주장해 왔으며 지금도 그 소신에는 변함이 없다. 다만 2016년 이후의 정치적 상황의 급격한 변화와 대통령 탄핵사태 속에서 국민의 개헌필요성과 분권형 정부형태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있는 시대적 변화를 직시하면서, 필자는 견해를 일부 수정하여 대통령제의 근간을 유지하는 개혁방안을 부분적으로 보완하여 제시함과 아울러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새로운 분권형 정부제의 도입가능성과 그 성공조건에 대해서도 검토한다.

    영어초록

    As the current Constitution has operated for more than 30 years since its adoption in 1987, politicians have continued to discuss the revision of constitution for 20 years and recently many people show interest in the revision issue. Although early discussion has raised for political reasons with a background of election processes and has been limited to a form of government, the discussion on consitutional revision has publicized as an advisory committee led by the National Assembly began to act from 2009. Therefore, the discussion on the constitutional revisiont by now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yielded a significant amount of outputs including reports by the advisory committee in 2009 and 2014 and research results by academia and civil organizations analyzing the overall problems of the constitution and proposing the direction of the revision.
    Taking the rapid changes in political situations in Korea and the impeachment of the former president Park Geun-hye in 2016 as an opportunity, the realizability of the constitutional revision is higher than ever, and the majority of people actively show positive opinions on the revision, according to polls. Although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inaugurated in May, 2017, has announced that the plebiscite on the revision will be held at the same time as the local election in June, 2018, the constitutional revision is likely to be delayed due to the disagreement between the ruling party and the opposition parties. However, the constitutional revision cannot be delayed anymore because the nationwide sympathy on the revision has already formed. For the subjects of revision, the possibility of overall revision may be low, and thus the partial revision that limits subjects to parts with nationwide sympathy may be desirable.
    In this paper, focusing on the form of government that is the key issue of the discussion, the author analyzes the progress of discussion on the constitutional revision until now and the report released by the special advisory committee of National Assembly and restates own views on the direction of revising the form of government. Through the publication of several papers on the revision issue, the author has continued to express prudential opinions on the dual executive system and support the four-year, two-term presidential system, and the opinion has still not changed. However, observing the change of times in which people’s interest in the need of constitutional revision and the decentralized form of government induced by the rapid change in political situations and the impeachment of the former president since 2016, the author partially modifies the opinions, thereby proposing a reformation plan that maintains the foundation of the presidential system and reviewing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the new decentralized government system with increasing national attention and its successful condi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공법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