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업장 내 정신건강문제의 법적 고찰 (A Legal Study on Mental Health Problems at Workpla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4 최종저작일 2017.09
44P 미리보기
사업장 내 정신건강문제의 법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노동법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노동법연구 / 43호 / 37 ~ 80페이지
    · 저자명 : 신권철

    초록

    20세기의 노동법은 ‘계약에 근거한 종속으로서의 노동’만을 바라본다. 그러나 이것은 노동법의 시선을 협소하게 만들었다. 근로자 종속의 반대편에 있는 사용자 지배의 문제들을 간과하였고, 노동이 가진 다른 속성들, 즉 사업상 위계적 지위와 직업으로서의 노동을 노동법의 시선 내에 포섭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협소한 시각을 가지게 된 가장 큰 이유는 노동법이 근로계약에 의한 노동을 중심에 두면서 근로자를 사법상 계약의 권리의무관계로 전제해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업장 문턱을 넘는 근로자는 계약의 옷을 벗고, 지배종속의 현실을 자신의 몸과 정신으로 감당한다.
    근로자의 노무제공은 사실상 육체와 정신이 통합된 신체를 제공하는 것이어서 사용자의 근로자에 대한 보호의무는 육체 외에 정신에 대한 보호의무를 포함한다. 21세기의 노동통제방식이 사업 내 경쟁과 스트레스를 통한 업무성과의 확대와 도태(淘汰)를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근로자는 그로 인한 정신적 고통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본 논문은 근로자 정신건강의 문제가 기본적으로 근로자가 사업장이라는 사용자의 지배관할영역에 편입되어 타인결정의 노동을 하면서 발생하게 됨을 보여준다. 특히, 감정노동과 돌봄노동과 같이 근로자에게 강요되는 감정, 직장 내 따돌림이나 가학적 인사노무관리에 의한 근로자 인격의 침해, 하청노동이나 기간제노동에서 나타나는 강요되는 충성심이 사실상 근로자의 불안과 고통과 같은 정신건강 문제의 원인이 됨을 보이고자 한다. 본 논문은 이를 감정의 강요(감정노동과 돌봄노동), 고통의 강요(직장 내 괴롭힘과 가학적 인사노무관리), 불안의 강요(하청노동과 기간제노동)으로 나누어 그 쟁점들을 살펴보고, 결론부분에서 사용자의 근로자에 대한 보호(안전배려)의무가 단순한 신체적인 것에서 나아가 정신적인 것으로, 그리고 부수적 의무가 아니라 주된 의무로서 전환되어야 함을 제시한다.

    영어초록

    In the 20th century, labor law focused on labor as subordination based on employment contract. Its point of view is limited to contract law and emphasizes the protection of employee. Labor law overlooked the power of employer at workplace and didn’t cover the employee’s legal status and occupation in business system. Labor law regards employment relations as rights and duties between equal legal persons, rather than dominating and dominated relationship. But in workplace employer plays a role of not a equal contracting party but a ruler like a patriarch or paterfamilias.
    Offering employee’s services is accompanied with employee’s body which is composed of corpus, mind and emotion. Employer have a duty to care employee in workplace. The care duty is covered with the obligations of safety consideration in workplace, not only for employee’s physical safety but also for employee’s mental safety. In recent years, labor control system targets at outstanding job performance and artificial selection through competition and stress. In this circumstances employees are susceptible to mental illness.
    This article shows that employee’s mental health problems is to some degree caused by the employer’s power at workplace which can be forced to employees. care workers or emotional workers are forced to express his or her feelings contrary to his or her heart. Workplace bullying or personnel management abusing infringe on employee’s personal right and mental health. This article concludes that the care duty of employer including the obligations of safety consideration in workplace for employee’s mental safety should be regarded as main duty not as subordinate du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