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 3자 도덕적 면허 효과: 범법자 소속 집단에 대한 지각이 관찰자의 처벌판단에 미치는 영향 (Third Party Moral Licensing: The Effect of Perception of Wrongdoer’s Social Groups on Punitive Judgement by Observer)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3 최종저작일 2018.02
31P 미리보기
제 3자 도덕적 면허 효과: 범법자 소속 집단에 대한 지각이 관찰자의 처벌판단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 32권 / 1호 / 1 ~ 31페이지
    · 저자명 : 조병철, 김혜숙

    초록

    본 연구는 범법자의 소속 집단에 대한 지각(즉, 사회경제적 지위 및 따뜻함)에 따른 관찰자의 처벌판단에 있어 제3자 도덕적 면허효과(즉, 행위자들의 현재의 나쁜 행동을 사회경제적으로 높은 지위 등에 비추어 우호적으로 해석하여 허용하거나 혹은 낮은 사회경제적 지위의 행위자들에 대한 동정심을 통해 허용하는 효과)가 범죄의 명료성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검토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구 1에서 대학생 실험참여자들은 조건에 따라 사회경제적 지위(고vs저vs통제)가 다른 범법자의 범죄행위(명백vs모호) 시나리오를 읽은 다음, 해당 행위에 대한 처벌판단을 하였다. 연구 1의 결과, 실험참여자들은 명백한 범죄의 경우,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거나 지위정보가 없는(통제) 조건에서보다 높은 지위 범법자들에게 더 강한 처벌을 하였다. 모호한 범죄의 경우, 실험참여자들은 낮은 지위 범법자에 대해서보다 통제조건이나 높은 지위 범법자에게 더 강한 처벌을 하였다. 또한 낮은 지위 범법자(vs. 높은 지위)에 대한 약한 처벌은 명백한 범죄 상황에서만 동정심을 매개로 하여 발생하였다. 연구 2에서는 범법자의 소속 집단의 유능성(즉, 지위) 외에 따뜻함 정보를 추가하여 범죄의 명료성에 따른 관찰자들의 처벌판단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고, 또한 이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기제를 탐색하였다. 연구 2에서 실험참여자들은 조건에 따라 유능성과 따뜻함 수준이 다른 대상의 범죄행위 시나리오를 읽고 처벌판단을 하였다. 연구 2의 결과, 범죄의 명료성과 유능성 차원 그리고 범죄의 명료성과 따뜻함 차원 각각의 2원 상호작용이 유의미하였다. 명백한 범죄의 경우, 관찰자들은 무능하게 지각되는 사람보다 유능하게 지각되는 사람에게 더 가혹한 처벌을 하였는데, 이와 같은 무능한 사람(vs. 유능한 사람)에 대한 관대한 처벌은 동정심을 통해 발생하였다(연구 1 결과 반복지지). 행위자가 모호한 범법 행위를 하였을 때는 관찰자들은 차갑게 지각되는 사람보다 따뜻하게 지각되는 사람에게 더 관대한 처벌을 하였다. 이때 발생한 관대한 처벌은 관찰자들이 따뜻한 사람의 모호한 범법 행동을 우호적으로 해석함(즉, 범죄행위가 아닌 것처럼 지각)으로써 발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우리 사회에서 범법자의 사회경제적 지위 혹은 사회 집단에 따른 고정관념이 국민참여재판에 참여하는 배심원들의 처벌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제안하고 있다.

    영어초록

    The present study examined how Third Party Moral Licensing Effect(i.e., the effect of allowing actors' current bad behavior to be interpreted favorably in light of high SES or permitted by sympathy for actors with low SES) varied in terms of the type of crime for the observer to judge the extent of punishment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the grouo (i.e., socioeconomic status and warmth) to which the wrongdoer belong. More specifically, in Study 1, participants evaluated the extent of punishment regarding the wrongdoer after reading criminal act of the target through a script in which the target's SES(high vs. low vs. control) and the type of crime(blatant vs. ambiguous criminal behaviour) was manipulated. The results of Study 1 demonstrated that, in the case of blatant criminal behaviour, the participants made more severe punishment judgement for wrongdoer with high SES than with either low SES or without status information(control). Under ambiguous criminal behaviour condition, the participants gave greater punishment to the target in either the control condition or who was of high SES than to the target with low SES. Also, weak punishment for the wrongdoer with low SES(vs. high SES) was mediated by sympathy for the target only in the context of blatant criminal behaviour. In Study 2, we examined whether the perception of competence and warmth of the wrongdoer in terms of the group to which he belonged to, as well as the type of crime affected punitive judgement by the observer. In addition, we investigated psychological mechanism which may explain these process of punitive judgement. To examine these, we asked the participants to read a scenario describing either blatant or ambiguous criminal behaviour of the target with different levels of competence and warmth, in terms of the groups he belonged to, and afterwards to make punitive judgement The 3-way anovas obtained significant two-way interactions of Crime Type and Competence dimension, as well as Crime Type and Warmth dimension. When actors committed a blatant criminal act, observers gave more generous punishment to those who were perceived as incompetent than those who were perceived as competent. Generous punishment for incompetent persons occurred through sympathy, repeating the result of Study 1. When actors committed an ambiguous criminal act, observers gave more generous punishments to those who were perceived as warmly than those who were perceived as being cold. Generous punishment for a wrongdoer who were perceived as being warm rather than being cold occurred because the observers more favorably interpreted the ambiguous behavior of the warm target than the cold on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 our society the stereotypes of social groups to which the wrongdoer belong can influence the judgment of jurors participating in the tri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