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郭嵩燾의 『莊子』 해석에 관한 일고찰 -그의 비판을 중심으로- (A Study on Guo Songdao’s interpretation of Zhuangzi)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22.05
38P 미리보기
郭嵩燾의 『莊子』 해석에 관한 일고찰 -그의 비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도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도교문화연구 / 56권 / 43 ~ 80페이지
    · 저자명 : 오일훈

    초록

    본고에서는 청말 관료 지식인이었던 郭嵩燾(1818-1891)의 莊學에 대한 試論的 연구로 곽숭도의 『장자』 주석과 해석의 특징을 그의 郭象 비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우선, 곽숭도 『장자』 주석의 특징은 크게 네 가지 점에서 언급될 수 있다. 첫째, 주석 방법에 있어서 訓詁와 義理를 병행하고 있다. 둘째, 기존의 『장자』 주석과 해석에 대한 비판이 강하게 보이고 있다. 셋째, 『장자』를 유교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있다. 넷째, 왕부지의 氣論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다음으로, 곽숭도 『장자』 해석의 특징은 ‘逍遙’와 ‘齊物’ 그리고 ‘是非’를 중심으로 곽상의 해석에 대한 그의 비판을 통해 살펴보았다. 곽상이 ‘適性’에 기초한 만물의 ‘소요’를 주장하는 반면, 곽숭도는 성인의 ‘소요’만을 인정함으로써 하나의 단일한 가치관 속에서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고자 하는 바람을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만물소요’를 근거로 ‘彼我均’을 주장하는 곽상과 달리, ‘제물’에 대한 부정을 통해 드러나고 있는 곽숭도의 반‘제물’관은 사물의 차이를 적극적으로 인정하고 승인하는 것으로 인식의 통제나 획일적인 통일에 대한 비판적인 견해를 분명히 하고 있다. 곽숭도의 시비관은 ‘彼是’의 ‘對待’과 ‘是非’의 ‘兩立’으로 규정할 수 있다. ‘시비’는 나와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며 ‘피차’의 관계가 상호전화하듯이 ‘시비’도 상호전화한다. 그러나 곽숭도는 ‘시비’의 원인으로 ‘心’을 강조함으로써 인식의 주관성이라는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곽숭도의 『장자』 주석은 방대한 전거를 통해 기존의 『장자』 주석을 수정한 것으로 고증학적 성과라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성인의 ‘소요’만을 인정하면서도 반‘제물’관을 통해 개체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것은 그의 『장자』 인식의 내적 모순이라고 할 수 있으며, ‘피시’의 관계 속에서 ‘시비’의 원인을 찾고 있으면서도 ‘心’을 강조하는 것은 사상의 강한 관념성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as a preliminary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Guo Songdao’s annotation and interpretation of Zhuangzi, focusing on his criticism of Guo Xiang.
    First of all, the characteristics of Guo Songdao’s annotation on Zhuangzi could be mentioned in four main points. First, in the annotation method, exegesis and interpretation are combined. Second, there is a strong criticism of the existing commentaries and interpretations of Zhuangzi. Third, Zhuangzi is interpreted from a Confucian perspective. Fourth, there are quotes on Wang Fuzhi’s theories.
    Next, through his criticism of Guo Xiang’s interpretation, the characteristics of Guo Songdao’s interpretation of Zhuangzi were examined, focusing on xiaoyao 逍遙, qiwu 齊物, and shifei 是非. While Guo Xiang argues for xiaoyao of all things based on xing 性, Guo Songdao only acknowledges xiaoyao of sage, revealing his desire to maintain order in society in a single value. However, unlike Guo Xiang, who argues for biwojun 彼我均 based on xiaoyao of all things, Guo Songdao’s anti-qiwulun, which is revealed through the criticism of qiwu, actively acknowledges and approves differences in things, and it clarifies negative views on the control of perception or standardized unification. Guo Songdao’s shifei-theory could be defined as duidai 對待 of shifei 彼是 and coexistence of shifei. Shifei is formed in the relation between me and the other, and shifei change each other just as the reciprocal conversion of bici 彼此. However, Guo Songdao could not overcome the limitation of subjectivity of perception by emphasizing xin 心 as the cause of shifei. Guo Songdao’s annotation of Zhuangzi is a revision of the existing Zhuangzi-annotations through extensive transcription, which can be said to be an bibliographical achievement. However, it is an internal contradiction of his perception of xiaoyao to recognize individual diversity through anti-qiwulun while acknowledging only xiaoyao of sage, and it can be said that his emphasizing xin 心 means a strong ideological nature of his thoughts while looking for the cause of shifei in the relation of bishi 彼是.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교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