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중·일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브랜드 선호도 연구 (A Study on Chinese Consumers’ Preferences of Korean, Chinese and Japanese Cosmetic Brand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5.06
22P 미리보기
한·중·일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브랜드 선호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 13권 / 2호 / 91 ~ 112페이지
    · 저자명 : 전형연, 이원

    초록

    중국은 전 세계 화장품 기업들이 기대하는 가장 흥미로운화장품 시장이자 글로벌 기업들의 치열한 각축장이기도 하다. 이러한 현황에서 본 연구는 최근 중국 화장품 시장에서수입량이 대폭 상승한 유일한 사례인 한국화장품 브랜드에주목함과 동시에 수입이 대폭 하락한 일본 화장품 브랜드 그리고 여전히 자국 시장을 장악하지 못하고 있는 중국화장품브랜드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산, 중국산, 일본산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중국인 소비자들의 선호와 인식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설문조사법을 통해 각 국가별 3개의 대표 브랜드를선정하는 1차 연구 과정을 진행하고, 여기서 선정된 9개 브랜드 각각에 대한 브랜드 선호도 평가를 진행하는 2차 연구 역시 설문조사법을 통해 진행하면서 중국 화장품 시장 전반에대한 이해를 시도함과 동시에 그 전략적 대안 역시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1차 연구는 한국산 브랜드에 대한 중국인 여성 소비자들의 사용경험과 구매경험이 중국산 브랜드나 일본산 브랜드보다 월등히 많다는 현황을 파악하게 해주었는데, 이는한국산 화장품 브랜드에 대한 중국인 소비자들의 관심과 선호 현황을 파악하는 근거가 되어 주었다. 또한, 브랜드 선호를 파악하고자 했던 2차 연구에서도 한국산 브랜드인 설화수와 라네즈가 3개의 일본산 브랜드나 3개의 중국산 브랜드보다 12개 선호도 항목 전반에서 가장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것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 편, 각 국가별 선호도 항목 평가순위는 차별적인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는데, ‘제품 기능성’에대한 선호 항목을 제외하고 11개 항목에서 차별적 인식 결과가 타났다. 즉, 한국산 브랜드의 경우에는 ‘제품 향기’나 ‘제품자연성’ 같은 후각적 가치와 순수성 같은 가치에 대한 선호가강한 반면, 중국산은 ‘패키지 디자인’과 ‘제품 자연성’ 같은 시각적 가치와 순수성에 대한 선호가 비교적 강했으며, 일본산은 ‘브랜드 품격’과 ‘브랜드 명성’ 같은 상징적 가치에 대한 선호도 인식이 비교적 강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매장서비스’나 ‘구매후기’ 같은 브랜드에 대한 경험과 관련된 항목에 대해서는 한국산 브랜드 역시 그 선호가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체험적 요소들의 관리와 관계적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에 대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함을인식시켜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외 화장품 기업들 모두에게 중국 시장 확대를 위해서는 광고와 같은 전통적인 마케팅 방식보다는 매장, 패키지, 퍼블리시티, 이벤트, 기업행동같은 통합적인 마케팅커뮤니케이션 전략을 활용한 지속적이고 체험적인 PR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해주었다.

    영어초록

    China today is the largest emerging cosmetics market in the world. The cosmetic market in China has long been dominated by global foreign brands. This study remarked on Korean cosmetic brands which were increasingly exported to China brands, Japanese cosmetic products which decreased to export to the Chinese market, and Chinese cosmetic brands which didn’t dominate the local market.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explore the perception gap of brand preferences of Chinese consumers for three countries’ cosmetic brands such as Korea, China and Japan. We conducted the preliminary research to choose three brands for each country. Next,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brand preference for nine cosmetic brands, the second survey is used to get knowledge about how Chinese consumers perceived the brand preferences about nine cosmetic brands in their point of view and to understand Chinese cosmetic market environment and to find the strategies alternative.
    Consequently, firstly, this research found that Chinese women customers have the most utilization experiences and purchase experiences of Korean cosmetic brands among three countries’ brands. This result directly showed the brand interests and preferences of Chinese customers for Korean cosmetic brands. Secondly, Chinese customers prefer mostly Korean brands such as Solwhasoo and Laneige to three Japanese brands and three Chinese brands in all the 12 items for brand preferences evaluation. Meanwhile, It was different that the Chinese considered more important item among 12 items for each country’s brand. Except the ‘product function’, the evaluations of 11 items have a different preference. for the Korean brands, Chinese consumers preferred olfactory value and purity as ‘product scent’ and ‘natural characteristics’. For the Chinese brands, they preferred the visual value and the purity as ‘package design’ and ‘natural characteristics’ and for the Japanese brands, they preferred the symbolic values as ‘brand fame’ and ‘brand reputation’ But, the preference of the ‘retail service’ and ‘purchase review’ is low even for Korean brands. This result taugh t that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the managemen t of experiential elements and communication for Chinese consumers. This study showed that it is necessary to ma nage the diverse elements for the brand experiences as re tail stores, package, publicity, event, corporate activities rather than the traditional communication strategy as adv ertising on TV and invigorate PR communication actives on all the cosmetic compan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브랜드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