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헌법재판에 있어 집중형 모델에 관한 일 고찰 (A Study on the Traits and the Types of Centralized Model from the viewpoint of Comparative Constitutional Law)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1.09
20P 미리보기
헌법재판에 있어 집중형 모델에 관한 일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집 / 16권 / 1호 / 181 ~ 200페이지
    · 저자명 : 김문현

    초록

    본 논문은 우리헌법재판모델과 관련하여 헌법재판에 있어 집중형의 특성과 그 제도적 장․단점, 그리고 유형을 살펴보고자 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집중형은 대부분의 유럽국가가 채택하여 유럽입헌주의의 특징으로 생각되고 있는데 미국식 사법심사제(비집중형)와 달리 사법부가 이원화되어 일반법원은 구체적 사건에 입법을 적용하는 통상적 사법기능을 담당하는 반면 헌법재판소는 헌법재판기능을 담당하는 모델이다.
    집중형을 취하는 경우에도 그 내용은 나라마다 다양한데 몇 가지 기준에 따라 세부유형을 나눌 수 있다. 즉 헌법재판소의 관할과 관련하여 순수성을 기준으로 구분하기도 하고 헌법재판소가 일반법원으로부터 어느 정도 독자성 내지 자율성을 가지느냐 하는 기준에 의해 분류하기도 한다. 또한 오스트리아모델과 독일모델로 나누기도 하고 헌법재판의 성격을 어떻게 이해하느냐와 관련하여 분류할 수도 있다. 또한 사전심사형과 사후심사형으로 나누기도 한다.
    우리나라 헌법재판제도는 다른 집중형 국가와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어 집중형의 대표적 모델이라 오스트리아모델이나 독일모델에 부합하지는 않으나 굳이 선택한다면 제도적으로는 오스트리아모델에 보다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법원과의 관계에서 순수성과 독자성은 비교적 낮다고 할 수 있고, 사법작용적 성격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현행 헌법재판제도는 헌법재판소와 대법원의 관할다툼과 헌법해석의 불일치의 해소방법의 부재, 헌법재판소의 경력법관중심의 구성에 따른 헌법적 전문성 부족과 같은 심각한 문제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미국식 사법심사제로의 회귀를 주장하는 의견도 있으나 우리나라의 사법체계나 법관인사제도, 대법원의 관할과 사건 수 등 여러 이유에서 사법심사제로의 전환은 부적합하고, 집중형을 기본적으로 유지하되 현행 헌법재판제도가 가지고 있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집중형 중 어떤 유형을 모델로 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독일모델로 전환하여 헌법재판소를 사법부의 틀 내로 넣고 제한적으로 재판소원을 인정하는 방안, 또는 오스트리아식으로 헌법 제107조 제2항을 삭제하고 명령이나 처분에 대한 위헌 여부에 대한 재판도 헌법재판소로 일원화하는 방안 등을 고려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집중형의 기본취지 중 하나인 헌법재판관의 헌법재판에 대한 전문성확보를 위한 제도적 개선이 긴요하다고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centralized model for the constitutional judicial review is characterized by a dualist structure of the judiciary and the existence of a single judicial body- typically called a constitutional court-. and concentrates the power of constitutional review in it.
    As Professor Louis Favoreu and others have noted, the centralized model is closely associated with notions of parliamentary supremacy, suspicion of the competence of career judges, absence of a unity of jurisdictions and lack of the doctrine of stare decisis in Europe. But there are many differences among the centralized model countries. They can be classified by some standards, for example the scope of jurisdictions, the relations between a constitutional court and ordinary courts , and etc..
    In Korea,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been established since 1987. But the Supreme Court has had jurisdiction on the judicial review about some matters on the basis of Art. 107Ⅱ. There have been some struggles around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s and jurisdictions between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the Supreme Court. The judge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have mainly been from the career judges and have had no specialties in constitutional review. To solve such problems, Art. 107 Ⅱ in the Constitutional Law should be cancelled and the qualifications for the judge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should be chang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