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제강점 초기 한·일 초등학교 교과서의 한국인식 (Recognition on Korea represented in history education in Korean and Japanese elementary schools in the early Japanese compulsory annexation of Korea)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0.08
42P 미리보기
일제강점 초기 한·일 초등학교 교과서의 한국인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 36호 / 327 ~ 368페이지
    · 저자명 : 윤소영

    초록

    본 연구는 한일강제병합 전후 일본과 한국의 초등교육에서 이루어진 한국사 관련 교육의 실태를 비교 검토하여 일본 소학생의 ‘제국의식’ 형성에 한국사 관련 교육이 어떻게 이용되었는지,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나타난 한일강제병합 전후 식민지 역사교육의 특징은 무엇인지를 밝힌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러일전쟁 후 일본의 소학교 국정 역사교과서는 천황주의와 패권주의적 역사발전인식이 강화되었다. 이 논리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고대 천황이 한반도 남부의 삼국을 지배했다는 점이 중시되었다. 그리하여 신공황후의 ‘신라정벌설’에서부터 임진왜란과 청일전쟁, 러일전쟁, 그리고 한국강제병합을 연결 지으면서 이것이 일본의 역사적 진화발전과정이라고 설명했다. 한국의 열등성과 일본의 진보성을 대비시키는 내용으로 구성하여 1910년 한국병합은 일본의 문명화의 도달점이며, 고대일본의 한국지배의 역사에서 기원한 필연적 결과로 교육되었다. 결국 일본 소학교 학생에 대한 한국사 관련 교육내용은 일본 천황의 위대성과 패권주의적 발전의 정당성을 증명하기 위한 필요불가결 요소로 이용되었다.
    이와 같은 일본에서의 초등역사교과서 내용이 통감부 시절에 『국어독본』을 통해 일부분 나타났다. 신공황후, 任那의 존재를 부분적이나마 명시하였고 일본은 한국 때문에 청일전쟁과 러일전쟁을 한 것이며 이를 통해 한국의 독립을 지지했고 통감부를 설치하여 대한제국을 문명으로 지도하였다고 강조했다. 한편 1910년 한일강제병합 후 과거의 『일어독본』을 수정한 『국어독본』과 『수신』을 통해 한국이 일본의 식민지가 될 수밖에 없던 필연적인 요인을 한국의 내적 ‘무능’으로 돌린 언설과 ‘한일병합’에 감사해야 한다는 내용, 병합은 전 한국황제가 일본 명치천황에게 평화적으로 통치권을 양도한 것이라는 내용이 교수되었다. 한편 대한제국시대에 일부분이나마 게재된 역사관련 내용은 교과서에서 사라졌다. 그 이유는 병합 후 한국인에 대한 역사교육이 더 이상 필요 없다는 논리도 제기되었지만, 무엇보다도 일본의 고대한일관계사 이해와 한국의 이해에는 근본적인 괴리가 있다는 점, 그리고 강제병합 후의 한국 측의 반발을 자극하지 않고자 한 의도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In the article I examined education realities on the history of Korea carried out in Japanese and Korean elementary education before and after the Japanese compulsory annexation of Korea and lighted up how education of the history of Korea was utilized for the formation of Japan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imperialist consciousness and what the characteristic of history education in the colony was before and after the Japanese compulsory annexation of Korea.
    The results of my research work are as follows; In the Japanese government designated history textbook for the elementary schoolboys and schoolgirls the recognition of historical evolution of the principle of the Japanese emperor and hegemonism was strengthened after the Russo- Japanese War. In order to build this logic the point that the Japanese emperor in the ancient times dominated three countries located in the south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was emphasized. Therefore they connected the theory of Jingukogo’s conquest of the kingdom of Shilla with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 Sino-Japanese War, the Russo-Japanese War and the Japanese compulsory annexation of Korea, and explained that this was the course of the Japanese historical evolution. They compiled the history textbook with the contents contrasting Korea’s inferiority with Japanese advancement and educated the elementary schoolchildren as follows;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in 1910 was the point that civilized Japan should arrive at and an inevitable consequence originated from the history of the ancient Japan’s domination of Korea. In the end, the details of education on the history of Korea for Japanese elementary schoolchildren were utilized as an inevitable factor to prove the Japanese emperor’s greatness and the justice of the development of hegemonism.
    Such contents of the Japanese history textbook for the elementary schoolchildren were partly appeared in a Korean reader in times of the Residency-General. In it Jingukogo and Imnailbonbu were partly described and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Russo-Japanese War were broken out because of Korea and Japan supported Korea’s independence, and emphasized that Japan set up the Residency-General and guided Korea into the way to civilization. In the mean time, through “a reader”, a revised edition of a Japanese reader and moral education it was taught that the inevitable factor that Korea could not but be the Japanese colony lay in Korea’s inability and Korea should appreciate the Japanese annexation, and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was that the former Korean emperor peacefully had transferred the sovereign power to the Japanese Meiji emperor. The contents of history which were partly described in the textbook in times of the Korean Empire disappeared from the textbook. The reasons are as follows, that is, as there was a basic gap between ancient Korean-Japanese history from the point of view of Japanese and Korean understanding, and they had an intention not to invite Korean resistance after the Japanese annexation of Korea, it seems, a logic was raised that history education was no more needed for Korean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독립운동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