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외국판결의 승인 및 집행에 대한 중국법원의 입장 변화와 관련 판례 평석 -일대일로 사법의견과 난닝성명을 중심으로- (Changes in the position of Chinese courts on the approval and enforcement of foreign judgments)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9.08
42P 미리보기
외국판결의 승인 및 집행에 대한 중국법원의 입장 변화와 관련 판례 평석 -일대일로 사법의견과 난닝성명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총 / 26권 / 2호 / 51 ~ 92페이지
    · 저자명 : 이화, 김현아

    초록

    이론적으로 법원의 판례는 한 나라의 사법주권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 영토 내에서만효력을 가진다. 하지만 국제거래와 분쟁이 심심치 않게 발생하는 현재, 각국의 법률제도나 사법 이념이 다르더라도 국제예양 또는 호혜에 근거하여 외국 법원의 판결에 대해 전반적으로 존중하는 태도를 가지는 추세다. 그러나 서로 다른 국가의 판결 효력은그 속지(属地)성 때문에 당연히 본국에서 승인과 집행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각 국가마다 그 요건을 달리하고 있는데 중국은 기본적으로 국제조약에 가입되어 있거나 호혜관계가 존재할 것을 요구한다. 중국은 2019년전까지 한국판결을 승인 및 집행한 적도 없었고 호혜관계를 신중하게 인정하여 외국판결의 승인 비율이 상당히 낮은편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국면이 일대일로 정책의 일환으로 사법서비스를 개선할 것을발표하고 나서는 선후로 호혜원칙에 근거하여 처음으로 싱가포르 법원의 판결을 승인하였고, 미국법원의 판결, 올해는 한국법원의 판결을 호혜원칙에 따라 승인한 바 있다.
    일대일로 의견 발표 후, 처음으로 호혜원칙을 적용하여 싱가포르 법원의 판결을 승인및 집행한 사건은 최고법원에 의해 <일대일로 지도판례> 중 13호 전형적인 사례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싱가포르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중국과 민․상사 사법공조협약은 체결했으나 승인 및 집행에 관한 규정은 두고 있지 않다. 싱가포르가 일대일로 제창에참여한 국가라는 점도 흥미롭고 시기적으로 일대일로 의견과 난닝성명이 발표된 후의판례라는 점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In theory, each judgement demonstrates the jurisdictional sovereignty of a country, taking effect only within the country’s territory. Yet, with international trade and dispute ever-increasing, there is a global trend where many countries start to acknowledge foreign judgements based on the reciprocity principle and international comity, even though their legal systems and ideologies a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Nevertheless, recognition and enforcement may not work in all foreign legal cases due to the principle of territorial privilege for jurisdiction. Every country has its own criteria for recognising and enforcing a foreign judgement. In the case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 state party concerned should be a member of the relevant international treaty or have a reciprocity relation with China. Until 2019, not a single Korea’s judgement was recognised and enforced in China. In addition, not only Korea’s judgements but also those of other foreign countries were rarely recognised. This is because China strictly builds its reciprocity relation with other countries. However, now there are new developments in China’s legal system. As part of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the Chinese government announced its willingness to improve the current legal services and after the declaration, it recognised the Singapore Court’s judgement for the first time, based on the reciprocity principle. Subsequently, it recognised the judgements of the United State and Korea, respectively one after another.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Singapore’s judgement is seen as a historic event, which has been set as the 13th typical case in the judicial reports called “Guiding cases regarding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by the China’s Supreme People's Court. Like the Republic of Korea, Singapore signed with China the convention on mutual assistance in foreign civil and commercial affairs but has not stipulated rules for the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foreign judgements yet. It is noteworthy that Singapore is engaging in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and that the decision took place after the announcement of Several Opinions of the Supreme People's Court on Providing Judicial Services and Safeguard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elt and Road” by People's Courts, and the Nanning Statement of the 2nd China-ASEAN Justice Foru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