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일-가정 갈등 맥락에서 개인차 요인의 역할에 대한 실증연구: 일 중심 성향(Work Centrality)의 주 효과와 조절효과 (An Empirical Study on the Moderating Role of Work Centrality in the Context of Work-Family Conflict)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2 최종저작일 2014.09
29P 미리보기
일-가정 갈등 맥락에서 개인차 요인의 역할에 대한 실증연구: 일 중심 성향(Work Centrality)의 주 효과와 조절효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사조직학회
    · 수록지 정보 : 인사조직연구 / 22권 / 3호 / 33 ~ 61페이지
    · 저자명 : 박상언

    초록

    지금까지 일-가정 갈등과 관련하여 그 선행 영향요인과 결과에 대한 많은 연구 성과들이 축적되어 왔다. 하지만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적 조건 이외의 다른 개인차 요인이 일-가정 갈등 맥락에서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 지를 살펴본 연구는 드물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취지에서, 본 연구에서는 일-가정 갈등 경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개인차 요인으로서 조직 구성원이 가진 ‘일 중심 성향’(work centrality)이 조직 및 직무관련 태도에 미치는 주 효과와 조절효과에 대해 주목해 보고 있다. 293명의 사원들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먼저 일 중심 성향은 응답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대해 정(+)의 관계를, 그리고 이직의향에 대해서는 부(-)의 관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양방향의 일-가정 갈등이 조직몰입 및 이직의향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서 일 중심 성향은 예상했던 완충적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일 중심 성향이 큰 사람일수록 일 영역에서 비롯된 갈등인 일>가정 갈등(work interfering family)이 조직몰입에 미칠 수 있는 부(-)의 영향이 완화되어 나타난 반면, 일 중심 성향이 작은 사람에게서는 가정 영역에서 비롯된 갈등인 가정>일 갈등(family interfering work)의 부정적 영향이 완화되어 나타났다. 또한 가정>일 갈등과 이직의향 간의 관계에서도 일 중심 성향이 작은 사람들에게서 이러한 완충적 조절효과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개인차 요인인 일 중심 성향에 따라 조직 관련 태도에 대해 미치는 일-가정 갈등의 영향이 사람마다 다소 다르게 지각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이러한 분석결과가 함의하는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 그리고 향후 연구과제가 토론되었다.

    영어초록

    In recent decades, increasing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the interface between an employee’s work requirements and family demands. As a result of these competing demands, interference can occur between the work and family domains, giving rise to work-family conflict (WFC), commonly defined as a form of inter-role conflict in which participation in one role conflicts with another role. It has been argued that WFC is bi-directional: work can interfere with family (referred to as work interfering family, or WIF) and family can interfere with work (referred to as family interfering work, FIW). To date, numerous studies have shown that WFC relates to important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problems such as absenteeism, decrease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decreased job, family and life satisfaction.
    Until now, much scholarly effort has focused investigating the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WFC, and most research has concentrated on the job-situational and demographic variables. Although a few scholars have considered the importance of work/family roles in their research model, a key concept that has not been examined comprehensively is the role that individual value judgments of work versus family play in the context of WFC.
    The main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therefore to examine the specific role played by work centrality as an individual differ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FC and organizationally-related outcomes. Work centrality can be defined as the belief that individuals have regarding the degree of importance that work plays in their lives. When individuals generate strong work-related values, they tend to place priority on the work domain and work becomes a central activity in their lives.
    It is very likely that individuals can have strong ties to work or family that could impact their job attitudes and behaviors. It is also plausible that individuals who value work over family or family over work might react differently to the WFC they experience and the consequences of that conflict. For example, individuals who value the work role overthe family role are likely to attribute the cause of WFC to the family role. Because they identify with their work role, they tend to see the less valued domain, and not the job or organization, as the cause of conflict. As a result, the negative impact of WIF on the job and organizational attitudes should be less pronounced for individuals who value work more than family. Conversely, individuals who have stronger ties to their family role than to their work role are likely to attribute the cause of WFC tothe work role, because they are likely to blame the conflict on the less valued aspect of their life, their work domain. It might therefore be expected that the negative impact of FIW on job attitudes and organizational outcomes should be less pronounced for individuals who value family more than work.
    In order to confirm these logical inferences empirically, we designed a research model on the main and moderating effects of work centrality on an employee’s job and organizational-related attitudes. Specifically,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wofold. First, we aimed to examine the main effects of work centrality on an employee’s job attitudes. Second, we sought to investigate the role of work centrality 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WFC and employees’ job attitudes.
    To investigate these research questions empirically, data were collected from 293 employees of a manufacturing firm and a serie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test hypothese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ork centrality was positively related to employees’ job and organizational-related attitudes such a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ir turnover intention. Moreover, as expected in the hypotheses, the moderating effects of work centrality were observed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WFC and organizationally-related attitudes such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When work centrality was high, it served as a type of buffer against the negative effect of WIF whereas it attenuated the negative impact of FIW when work centrality was low.
    We believe that a key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he investigation of individual value differences such as work centrality, and of how this variable affects individual reactions in the context of WFC. In particular, in going beyond prior research that measured and analyzed only the WIF dimension, this study examined the main and moderating effects of work centrality in the context of bi-directional dimensions of WFC: that is, both WIF and FIW. We also discussed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for the management of organizations and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