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합리적인 제도와 공리주의 (Rational Institution and Utilitarianis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10.09
19P 미리보기
합리적인 제도와 공리주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철학 / 52호 / 45 ~ 63페이지
    · 저자명 : 오재호

    초록

    이 글의 목적은 공리주의가 제도를 정당화함으로써 보다 일반적인 원리로 강화될 수 있음을 보여주려는 것이다. 기존의 공리주의는 일반 원리로서보다는 대체로 개인의 행위 지침으로서 연구되어 왔다. 공리주의를 비롯하여 행위자 개인을 도덕 판단의 유일한 주체로 여겼던 대부분의 도덕 이론들은 이상적인 목표를 제시하였을 뿐 실천적이지 못하였던 것으로 평가된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 달리 고전적 공리주의를 대표하는 벤담과 밀은 오히려 사회적 정책과 제도 제도에 의한 일반적인 권리의 보장이나 전반적인 효용의 증진에 더 주목하였다. 공리주의는 도덕 이론으로서 뿐만 아니라 영국의 산업화 과정에서 기획된 정책과 제도를 정당화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특히 밀의 『정치경제학의 원리』와 『자유론』이 집필된 의도와 당시의 사회적 배경에 비추어 볼 때, 공리주의는 효율적인 분배를 위한 국가 개입의 필요성을 주장하기 위해 등장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공리주의는 빈부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도입된 19세기 영국의 경제 정책과 관련하여 검토되어야 한다.
    공리주의는 최대 행복이라는 목표를 위해 비현실적인 인간을 가정하고 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 비판은 개인의 행위 능력과 자선의 의무에 지나치게 의존하였던 고전적 공리주의의 한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결과주의를 표방하는 공리주의는 개인의 이성 능력의 한계와 전략적 상호작용에 따른 비결정성(indeterminacy)으로 인해 최선의 결과를 추구하기 어려울 수밖에 없다. 공리주의는 오로지 개인적인 자선의 의무에 호소하기보다는 행위자들 간의 전략적인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할 때 개인의 자유와 사회적 효용을 큰 모순 없이 동시에 추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제도 공리주의는 도덕적 의무로서의 내적 동기를 강조하였던 기존의 공리주의와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Utilitarianism could be improved by justifying institution. Utilitarianism has been treated as individual action guide rather than general principle. Most moral theories including Utilitarianism that regard the individual agents as the only moral decision maker can be evaluated as impractical. Unlikely people commonly believe, Bentham and Mill who stand for classical Utilitarianism have an interest in protection of basic human rights and maximization of general utility. Utilitarianism has performed not only as a moral theory but also as the idea that justifies the institution which is designed in British industrialization. Especially, in the light of the aim of Mill's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 and 'On Liberty' Utilitarianism seems to emerge in order to assert the necessity of nation's intervention for effective distribution. Therefore, Utilitarianism should be reviewed in relation to the economic policies which is introduced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n 19th century British.
    Utilitarianism has been criticized for its unrealistic human nature in seeking greatest happiness. It might come from the limits of classical Utilitarianism that depended on individual ability and charity. Utilitarianism as consequentialism can't reach the best outcome for limit of reason and indeterminacy based on strategic interaction. It is expected that Utilitarianism can be realized when it build on the strategic interaction between agents. Utilitarianism as a moral theory should prove the possibilities that individual liberty and social goods can be reconciled without inconsistency. Institutional Utilitarianism should be considered with traditional one that emphasizes the internal motives as a moral oblig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