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승계참가인과 피참가인의 소송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n sucesion participant and plaintiff)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1 최종저작일 2021.02
27P 미리보기
승계참가인과 피참가인의 소송관계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홍익법학 / 22권 / 1호 / 361 ~ 387페이지
    · 저자명 : 곽승구

    초록

    소송 계속 중 채권양도나 전부명령 등의 사유로 소송물의 양도가 이루어지는 경우 우리민사소송법은 소송승계주의를 취해 승계인에 의한 소송참가를 인정하고 있다. 이렇게 권리승계형 승계참가가 있는 경우 피참가인인 원고는 소송탈퇴가 가능한데, 그럼에도 불구하고피고의 동의를 얻지 못하여 소송에 남아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피참가인과 승계참가인의 소송관계에 관하여, 그동안 우리 실무는 통상공동소송 관계로 보았으나, 최근 대법원전원합의체 판례는 견해를 바꾸어 필수적 공동소송에 관한 특별규정을 적용해야 한다고보았다. 합일확정의 필요성이 있고, 또 202년 민사소송법 개정 시 편면적 독립당사자참가와 예비적․선택적 공동소송이 허용되었기 때문에 권리승계형 승계참가에서도 필수적 공동소송 특별규정을 적용할 수 있는 법률적 근거가 마련되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독립당사자참가, 예비적․선택적 공동소송과 승계참가의 제도비교를 통해 위 전원합의체 판례의 타당성에 대한 검토를 하였다. 필자의 결론을 요약하면, 대상판결은 합일확정이 필요한 사례에서 모순 없는 판결을 도출하였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나, 독립당사자참가 및 예비적․선택적 공동소송과 승계참가는 제도의 성격이다르며, 202년 법 개정을 전후로 정작 승계참가에 관한 규정은 전혀 변한 것이 없다는 점을 고려하면, 승계참가에서 피참가인과 승계참가인의 소송관계에 바로 필수적 공동소송 특별규정을 적용할 수는 없고, 다만 재판부가 석명을 통해 독립당사자참가 또는 예비적․선택적 공동소송으로의 변경을 유도하고, 만약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구변경을 하지 않는 경우는 상대방 당사자의 이익 보호와 처분권주의 원칙 상 통상공동소송 관계로 보고 유연한판단을 하는 것이 타당하다 할 것이다. 승계참가 본연의 제도 활성화를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법 개정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영어초록

    If the litgation is transfered due to the transfer of rights or the like while thelitgation is continuing, the Korean Civil Procedure Law takes the sucesion of litgationand recognizes the participation of the sucesor. If the sucesor participates, theplaintif may withdraw from the lawsuit, but there are cases where the defendant doesnot agre and remains in the lawsuit. In this case, regarding the lawsuit relationshipbetwen the participant and the sucesor participant, our practice has ben regarded asa common lawsuit. However, the recent precedents of the Supreme Court's Al Agrement Body have changed their views and saw that esential joint lawsuit specialrules should be aplied. This is because there is a ned to make the conclusions thesame, and when the Civil Procedure Law was revised in 202, one-sided independentparty participation and preliminary․selective joint lawsuits were alowed. Therefore, itis said that it is because the legal basis for aplying the esential joint lawsuit specialrules has ben prepared for sucesion participation.
    In this study, the validity of the Supreme Court precedents was reviewed through asystemic comparison of the participation of independent parties, preliminary and selective joint litgation, and sucesion participation. In summarizing my conclusions,precedents can be evaluated positvely in the aspect that they drew a verdict withoutcontradiction in cases requirng a confirmation of unity. But in the sucesion participant,the esential joint lawsuit special rules canot be aplied directly to the legal relationshipbetwen the participant and the sucesor participant. This is because the nature of thesystem is diferent for the participation of independent parties, preliminary․selectivejoint litgation, and sucesion participation, and the regulations on sucesionparticipation have not changed at al since the revision of the 202 law. The court shalorder the participation of independent parties or change to a preliminary․selective jointlitgation through a statement. However, if the plaintif does not change the claim, it wilhave to be dealt with as a common lawsuit on the principle of protection of the otherparty's interests and dispositon rights. In order to revitalize the natural system forparticipation in sucesion, it wil ultimately be necesary to amend the law.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홍익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