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죽음교육의 목적에서 탐색한 공자와 소크라테스의 죽음관 (Confucius’ and Socrates' Views of Death for the Purpose of Death Education)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21.03
20P 미리보기
죽음교육의 목적에서 탐색한 공자와 소크라테스의 죽음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교육문제연구 / 39권 / 1호 / 105 ~ 124페이지
    · 저자명 : 백미화, 신창호

    초록

    죽음교육의 목적은 크게 존재론적 차원과 사회 관계론적 차원으로 나눌 수 있다. 죽음교육은 죽음에 대한 이해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과정과 양상의 학습을 통하여 삶의 가치와 의미를 탐색하고 자신의 죽음을 현실로 받아들임으로써 삶을 성찰하고 삶의 소중함을 인식할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소중하고 의미 있는 타인의 상실과 사별을 겪으면서 그 슬픔에 대처할 수 있는 기술을 익힘으로써 영적 성숙의 기회를 제시하기도 한다. 동양의 현인인 공자의 경우 삶과 죽음을 대립적으로 파악하지 않았고, 죽음이나 사후문제보다는 현실적 삶을 중시하여 삶의 실천성에 관심을 두었다. 죽음의 본질이나 사후에 대한 관심의 규명보다는 죽음이 가지고 있는 ‘의미적’ 측면을 고심하였다. 그리고 죽음이 야기하는 슬픔을 인간의 자연스러운 반응으로 받아들이고 죽음으로 인한 상실에 대한 슬픔이나 안타까움을 직접 표현하였다. 서구의 철학자인 소크라테스는 영육이원론을 주장하며 영혼의 불멸성을 믿었으며, 죽음을 통해 비로소 지혜에 대한 완전한 인식을 얻는 것이라 강조하였다. 그러므로 죽음은 절대 슬퍼할 일이 아니다. 공자의 “처사지도(處死之道)”나 소크라테스의 “죽음을 통한 영혼의 해방”이라는 관점은 현대 교육적 차원에서 학생들의 생명감수성을 내면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death education can be broadly divided into an ontological dimension and a socio-relational dimension. Death education is the basis for reflecting on life and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life by exploring the value and meaning of it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death. This entails the learning of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processes and aspects, and accepting one's death as reality. In addition to providing the foundation, it also provides opportunities for spiritual maturity by learning the skills to cope with the grief caused by such losses and bereavements of others that are precious and meaningful. In the light of this purpose of death education, the restoration of the intrinsic value of education that is neglected today would be welcomed by comparing and examining the views of death of both Confucius and Socrates, representative wise men in the east and the west. Confucius(551-479 B.C.) did not confront life and death, and focused on real life rather than death or post-mortem problems, focusing on the practicality of life. Rather than clarifying the essence or interest in death itself or after death, he was interested in the “meaning” of the aspect of death. In addition, the grief caused by death was accepted as a natural reaction of humans, and the grief or regret for the loss caused by death was directly expressed. Meanwhile, Socrates(470-399 B.C.) insisted on the principle of spiritual and physical dualism, believed in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nd emphasized that it is only through death that a full awareness of wisdom is gained. Therefore, death is never something to be grieved. Confucius' “attitude toward death(cheo-sa-ji-do)” or Socrates' view of “the liberation of the soul through death” can be interpreted in a proper meaning for educational purposes today. Thus, through such teachings, it may cause students to internalize greater sensitivity to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