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종교교육의 주제로서 죽음과 죽음교육 (Death and its education as themes of religious educatio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20 최종저작일 2014.03
26P 미리보기
종교교육의 주제로서 죽음과 죽음교육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학논단 / 75권 / 281 ~ 306페이지
    · 저자명 : 이은경

    초록

    발달이론을 주장하는 학자들은 아이들이 발달단계상 아직 미발달 또는 마술적 단계(윌버), 감각적 혹은 전(前)조작적 단계(피아제), 전(前)인격적 단계(윌버)에 속한다고 보기 때문에, 아이들이 신학적이고 철학적인 주제에 관해 생각할 수 있고, 자기만의 방식으로 그러한 주제들에 대해 생각한다는 사실을 거의 인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어린이를 이미 온전한 인격체, 전인적 존재로 여기는 사람들에게 어린이가 철학적 더 나아가 신학적 사고를 할 수 있다는 것은 엄연한 사실이며, ‘어린이 영성운동’에서는 어린이를 이미 영적인 존재로 간주한다. 어린이신학을 말하는 대표자들 중 한 사람인 프리드리히 슈바이처(Friedrich Schweitzer)는 ‘어린이도 신학자다’라고 말하면서, 어린이신학을 “어린이에 의한, 어린이를 위한 그리고 어린이와 함께 하는 신학(Theologie von, für und mit Kindern)”이라고 정의한다.
    또한 죽음은 우리의 삶 가까이에 존재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그리 주목받지 못했다. 특히 종교교육의 영역에서 그러했다. 그러나 죽음은 어린이들의 종교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고, 그리고 그것에 관해 탐구해야 하는 종교교육의 중요한 주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죽음에 대한 일반적 이해와 종말론인 죽음 이해를 살펴보고, 다음으로는 어린이신학의 입장에서 죽음에 대해 어린이들과 대화한 독일 칼스루에(Karlsruhe)에서 실시된 연구를 고찰함으로써, ‘죽음’이 가진 종교교육적 의미를 밝히고, 삶의 의미를 묻는 ‘죽음’을 종교교육의 한 주제로 삼을 것을 제안한다.

    영어초록

    Can children think in theological or philosophical ways? Even when it comes to serious subjects like death, can they thoughtfully reflect upon them? Or do they really show any interests in something transcendent or eschatological?Child development theorists seldom accept that children can think of any serious or heavy theological and philosophical subjects and further that they can reflect upon them in their own ways. For children are, from a perspective of developmental stages, only experiencing the underdeveloped or magical stage(K. Wilber) or the sensorimotor or the preoperational stage(J. Piaget), or the prepersonal stage(K. Wilber). Also in the reason-based Aristotelian tradition of thought, the rationality of children has completely disregarded. In this train of thought, children are non-rational beings.
    However, for those who regard children as beings with their whole personality or as holistic beings, it is more than obvious that children can develop philosophical thoughts and moreover theological ideas. For those who are involved in spiritual movement for children, a child is already a spiritual being. Friedrich Schweitzer, who has been one of leading propagandists for child theology, defines it as a “theology by children, for children and with children”(Theologie von, für und mit Kindern), saying that children are theologians.
    Death is one of the closest to our lives, but it has never gained our enough and appropriate attention, especially in an area of religious education of children. Yet, death can invoke children’s interests for it, and it thus should be regarded as one of the important educational subjects for religious education of children.
    This paper argues the meaning of death in religious education and suggest the topic of death, which asks the meaning of life, as an appropriate study subject for religious education, first by looking into an eschatological understanding of death within the horizon of general understandings of death and second by exploring dialogues with children about death in Karlsruhe, Germany from a perspective of child the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논단”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3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