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UCC 사용자의 개인적 창의성이 집단지성의 출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UCC 사용자의 개인적 창의성이 집단 여론으로 발전되는 과정은? (A Study on Effects of Individual Creativity of UCC Users for Emergence of Collective Intelligence: How to Develop a Process From Individual Creativities of UCC Users to Mess Opinions)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12.03
42P 미리보기
UCC 사용자의 개인적 창의성이 집단지성의 출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UCC 사용자의 개인적 창의성이 집단 여론으로 발전되는 과정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 수록지 정보 : 언론과 사회 / 20권 / 1호 / 5 ~ 46페이지
    · 저자명 : 최영준

    초록

    본 연구는 미디어 융합 환경 하에서 사용자 제작 콘텐츠(UCC) 사용자의 제작 행동에 있어 개인적 창의성이 어떻게 집단지성으로 발현되는지 그 메커니즘을 규명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출발은 지난 2008년 5월 2일, 미국산 쇠고기 수입 현상으로 촉발된 광우병 쇠고기 수입 우려라는 범국민 촛불집회가 그 발로이다.
    특히, 당시에 이슈가 된 시위문화는 주동자가 없다는 점 때문에 정부당국과 기존 언론을 당혹케 하였다.
    웹 2.0 시대의 멀티미디어 수용자들은 콘텐츠의 생산자인 동시에 소비자이며 개방과 공유, 참여라는 위키피디아 정신을 수용하여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넘나드는 여론을 주도하고 있다. 또한, 이를 두고 이미, 많은 학자들이 ‘집단지성’의 출현이라 일컬으며 예견을 해온 바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어떠한 경로로 이것이 가능한지를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를위해, UCC 사용자의 제작행위에 있어 기본 요인으로 밝혀진 개인적 창의성 요인이 사회적 이슈를 UCC제작의 소재로 채택하는 과정을 통하여 어떻게 참여성의 증대를 가져오는지 규정하는 작업과 이것이 집단지성을 이루는 과정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본 논의를 풀어가는 데 있어 먼저 선행연구들에서 확인된 측정요인을 적용하여 UCC 사용자의 개인적 창의성과 집단지성에 관한 구조모형을 만든 후 설문을 실시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 선택한 통계처리는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으로써 이는 심리적 기제와 행동 및 인지-태도-행동의 구조를 동시에 분석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잠재변수뿐 아니라 개별항목으로 된 측정변수만으로도 분석을 할 수 있으므로 회귀분석과 같은 다변량 분석기법에 비해 유연하게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UCC 사용자의 창의성 관련 질문항목에서 자의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이미지 요소들을 포괄적으로 수용하여 측정해내는데 매우 유용한 탄력성을 지닌 통계기법이다.
    본 연구를 통한 일련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UCC 사용자가 지닌 개인적 창의성은 UCC 제작의 소재 채택 경향성에 있어 사회적 이슈의 소재화에 영향을 미치며, 이렇게 제작된 UCC는 여론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UCC 사용자들이 사회적 이슈를 소재로 채택하는 경향과 관련하여 사회참여라는 여론형성과의 연결고리를 살펴보면, 미디어 기술의 발달이 미디어 사용자들로 하여금 생산·소비자의 역할을 가능하게 하였고, 웹 2.0의 인터넷 기반은 개방과 참여라는 새로운 미디어 군중을 양산하였다. 즉, 특정한 쟁점을 포함하는 여론이 확산되기 위해서는 그 쟁점과 관련된 수용자 집단의 동질성이 높아야 한다. 정보가 개방되어 있으나, 익명성을 보장받는다는 사이버 공간의 특성은 대중의 동질성을 더욱 높여준다. 이것은 사회의 다양한 목소리인 여론에 동질감을 느끼는 여론의 수렴을 의미한다. 따라서, 자신의 생각이나 입장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자신이 지지하는 집합적 행동에도 쉽게 참여할 수 있게 해준다. 즉, UCC 사용자들은 온라인을 기반으로 한 UCC 사용을 통하여 새로운 형태의 미디어 여론을 생산해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에, 본 연구결과는 멀티미디어를 이용하는 웹2.0 사용자들의 출현이 어떻게 참여군중으로 발전하여 특정 주동자 없이도 집단 여론을 형성하는지 미디어 사용자들의 심리와 행동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해답을 보여주고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a mechanism is inquired how an individual creativity appears to collective intelligence in productions of user created contents (UCC) under integrated media environments. A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was May second in 2008 when a national candlelight rally happened to consider U.S beef import as mad cow disease beef.
    Especially government and existed presses was very confused because there was not a leader of the issued rallies.
    Multimedia users in an era of Web 2.0 take lead the mess media in online and offline, by accepting Wikipedia attitudes that producers are consumers at the same time with open, sharing, and participation. Also many scholars prospected it and called it appearance of collective intelligence. This study tried to fined the way it can be possible. For that, considered as a basic element to make UCC, the individual creativity drove many participations through a process they choose social issues for UCC contents, and this study investigated a process to structure the collective intelligence.
    After it made a model about individual creativity and collective intelligence of UCC users by applying measurements from advanced researches, this study surveyed discussions. A statistical treatment chosen by this study is able to estimate data flexibly more than multi-variants analysis like regression analysis, becaus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could analyze simultaneously mental mechanism, behavior, and structure of cognition and attitude and action so that the model could analyze not only latent variables but also measurement variables of each individual contents. Therefore, it is a very flexible statistical method that could generally check image elements in questions of the UCC user creativity, which can be interpreted arbitrarily.
    In summarizing the series of results, the individual creativity of UCC users affects social issues choice, and the UCC gives effects to mess media.
    Indeed, looking at a correlation between public opinion called social participation and issue choice, development of media technology could make media users produce and consume the mess media, and Internet based on Web 2.0 could mess produce new media crowd with open and participation. For extending public opinions including specific social issues, homogeneity that a user group is related to the quarrel point is very high. Where information is open and anonymity is secured, cyberspace makes the homogeneity of crowd higher. This situation is meaning that public opinions as a social various voices can collect the homogeneity. Therefore, it makes people participate in easily assemble actions that they support and express their idea or stances. It is confirmed that UCC users produce new type public opinions by UCC based on online system. This study shows an answer to understand ment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Web 2.0 users who uses multimedia, and how the emergence of Web 2.0 users develops huge crowd so that they make public opinions without a lead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