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메타버스와 NFT에서 지식재산의 역할과 과제에 관한 고찰 - 지식재산은 패러다임 전환의 경계선에 서 있는가? - (A Study on the Role and Tasks of Intellectual Property in the Metaverse and NFT - Is Intellectual Property Standing on the Boundary Line of Paradigm Shift? -)

5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25.04
59P 미리보기
메타버스와 NFT에서 지식재산의 역할과 과제에 관한 고찰 - 지식재산은 패러다임 전환의 경계선에 서 있는가?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식재산학회
    · 수록지 정보 : 산업재산권 / 80호 / 369 ~ 427페이지
    · 저자명 : 한지영

    초록

    디지털 시대를 맞이하여 과학기술의 진보는 새로운 지식재산권 관련 이슈를 제기하고 있다. 메타버스라는 가상공간은 인간의 생활에 새로 운 삶의 가치를 부여하면서, 동시에 지식재산권에 관한 쟁점을 제기하 고 있다. 현실세계에서의 상품과 상표, 화상디자인, 저작물과 저작자, 부정경쟁방지법상 부정경쟁행위를 메타버스와 NFT 아트에서는 어떻게 법적으로 해석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는 비단 우리나라 뿐만 아니 라 IP 5 국가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P 5 국가들의 해결 방안을 비교법적으로 분석하였고, 특히 최근 상표와 디자인 분야에서 전향적인 입법적 태도를 보이고 있는 유럽연합의 법규와 지침을 고찰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에서 지식재산권 분쟁에 관한 국 제재판관할권 쟁점도 다루었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에서 지식재산권 관련 쟁점들을 고찰하면서 지식 재산권 법제의 개정의 필요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에 2024년 2월 27일 ‘가상융합산업진흥법’을 제정하였지만, 이 법은 과 학기술 발전이라는 측면이 강하고, 메타버스에서 일어날 개연성이 높은 지식재산권 쟁점에 관한 내용까지 포함시키지는 않았다. 반면, 메타 버스와 NFT 아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식재산 쟁점과 관련하여 유럽 연합의 입법론, 미국에서 특허상표청(USPTO)의 실무 방침 등을 살펴보 았고, 향후 메타버스에서 지식재산 분야 중 특허, 상표, 디자인, 저작 권, 부정경쟁행위의 분야에서 발생하는 이슈들을 비교법적으로 고찰하 였다. 다만, 현행 지식재산 법제의 패러다임의 전환까지 필요한지에 대 해서는 다소 의문이며, 메타버스와 NFT를 둘러싼 지식재산 쟁점에 관 한 후속 연구들이 진행되면서 이와 관련된 지식재산 정책 및 입법 개 정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In the digital age, advan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are raising new issues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 virtual space called the metaverse is giving new life value to human life and at the same time raising issues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 problem of how products and trademarks, video design, works and authors, and unfair competition under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should be legally interpreted in the metaverse and NFT art is occurring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IP 5 countries. In this study, the legal solutions of IP 5 countries were analyzed comparatively, and in particular, laws and guidelines of the European Union, which have recently shown a forward-looking legislative attitude in the field of trademarks and design, were considered. This study also dealt with the issue on international jurisdiction over intellectual property disputes in the metaverse. This study examined the necessity of revising the intellectual property law while considering the issues related to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n the metaverse. In the case of Korea, the 'Virtual Convergence Industry Promotion Act' was enacted on February 27, 2024, but this law did not include the issues on contents of intellectual property, which are strong in terms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are likely to occur in the metaverse. On the other hand, in relation to intellectual property issues that may arise in the metaverse and NFT art, the legislative theory of the European Union and the working policy of the Patent and Trademark Office(USPTO) in the United States were examined, and issues arising in the fields of patents, trademarks, designs, copyrights, and unfair competition activities among intellectual property sectors in the future metaverse were considered comparatively. However, it is somewhat questionable whether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paradigm of the current intellectual property legislation, and I think it is necessary to revise intellectual property policies and legislation related to this as follow-up studies on intellectual property issues surrounding the metaverse and NFTs are conduc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