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치화’된 진정성(Authenticity): ‘팬덤 플랫폼’은 팬 주체성을 어떻게 구성하는가 (‘Quantified’ Authenticity: How do ‘Fandom Platforms’ Construct Fan Subjectivity?)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24.06
44P 미리보기
‘수치화’된 진정성(Authenticity): ‘팬덤 플랫폼’은 팬 주체성을 어떻게 구성하는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미디어, 젠더 & 문화 / 39권 / 2호 / 161 ~ 204페이지
    · 저자명 : 신윤희

    초록

    코로나19 이후 본격적으로 확장한 ‘팬덤 플랫폼’에는 크게 두 가지 변화가 두드러진다. 당시 오프라인 팬 활동의 대안으로 등장한 온택트 활동을 플랫폼이 매개하면서 새로운 팬덤 활동 영역이 구축되었다는 점이고, 이를 매개로 한 소통이 팬과 스타 사이의 ‘의미 생산’의 주된 양상이 되었다는 점이다. 그러나 온택트라는 시청각으로 제한된 감각의 소통은 팬 활동에 여러 혼란을 초래했고, 감각의 한계에도 끊임없이 소통하려 노력하는 스타의 ‘진정성’은 곧 팬 활동의 동력이었다. 또한 팬덤의 영향력이 증가하면서 형성된 팬-스타의 수평적이고 쌍방향적인 소통의 증가와 플랫폼이 매개하는 ‘상시 연결되어 있다’는 감각은 팬덤 내에서 ‘스타의 진정성’을 주요 기제로 끌어올렸다. 이후 진정성은 케이팝 아이돌 문화의 장에서 보다 주된 담론으로 자리 잡는다. 이 연구는 이러한 환경에서 플랫폼이 구체적으로 팬과 스타에게 어떻게 ‘진정성(authenticity)’을 실천하게 만드는지를 살피고, 이 진정성의 내면화가 어떠한 주체적 효과를 낳고 있는지에 주목한다. 이를 위해 오늘날 대표적인 팬덤 플랫폼인 ‘버블’과 ‘위버스’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팬덤의 발화를 온라인 참여관찰하고, 플랫폼을 주로 이용하는 팬들의 심층인터뷰를 수행했다. 그 결과 이 연구는 팬덤의 능동적인 수행성에 플랫폼이 미디어적 조건으로 개입하는 방식을 밝혀낸다. 플랫폼은 팬덤 활동을 더욱 능동적으로 만드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상 팬과 스타의 소통을 매개하는 과정에서 진정성이라는 개념을 수치화하도록 직접적으로 개입하고 있다. 이는 팬의 경우 ‘소비력’, 스타의 경우에는 ‘빈번도’로 나타나는데 한마디로 측정할 수 있는, 즉 진정성을 정량화하는 방식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진정한 팬/아이돌’이라는 기제 아래 실천되는 수치화된 진정성은 시장 논리를 추동하며 감정을 자본화하는 방식으로 팬 주체성을 구성하고 있다. 다만, 이 연구는 이러한 수치화 기제가 완전히 포섭하지 못하는 측면 또한 주목한다. 이를테면 팬덤이 대화의 양보다 질을 중시한다거나, 수치화 이외의 방법으로 진정성을 획득하는 것 등이다.

    영어초록

    There are two major changes that stand out in the ‘Fandom Platform,’ which has expanded in earnest since COVID-19. The first is that the platforms mediated ‘ontact’ activities that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offline fan activities at the time, creating new areas of fandom activity, and the second is that communication through them became the main form of ‘production of meaning’ between fans and Idols. However, the communication of senses limited to audio-visual channels called as Ontact caused a lot of confusion in fan activities, and the ‘authenticity’ of stars who constantly tried to communicate despite the limitations of their senses was the driving force of fan activities. In addition, the increase in horizontal and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fan and star formed as the influence of the fandom increases, and the sense of being ‘always connected’ mediated by the platform elevates the ‘authenticity of the star’ as a major mechanism within the fandom. Since then, authenticity has become a major discourse in K-pop idol culture. This study examines how platforms specifically encourage fans and stars to practice ‘authenticity’ in this environment, and focuses on what subjective effects the internalization of this authenticity is producing. To this end, I conducted online participatory observations of fandom discourse centered on ‘Bubble’ and ‘Weverse,’ which are today’s representative fandom platforms, and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fans who mainly use the platforms. As a result, this study reveals how the platform intervenes as a media condition in the active performance of fandom. Although the platform appears to be making fandom activities more active, it is actually directly intervening to quantify the concept of authenticity in the process of mediating communication between stars and fans. This manifests as ‘purchasing power’ for fans and ‘frequency’ for stars, which can be summarized as a way of quantifying authenticity in a measurable way. In other words, the quantified authenticity practiced under the mechanism of ‘authentic fan/idol’ constructs fan subjectivity in a way that drives market logic and capitalizes on emotions. However, this study also focuses on aspects that this quantification mechanism does not fully encompass. For example, fandom values ​​quality rather than quantity of conversation, or acquiring authenticity through methods other than quantifi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디어, 젠더 &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