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택연금 가입자의 소그룹별 생존분석에 관한 연구: Kaplan-Meier 생존율과 Cox 비례위험모형을 중심으로 (Survival Analysis of Korean Home Pension : A Focus on Detailed Consumer Characteristic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9 최종저작일 2020.12
29P 미리보기
주택연금 가입자의 소그룹별 생존분석에 관한 연구: Kaplan-Meier 생존율과 Cox 비례위험모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분석학회
    · 수록지 정보 : 부동산학연구 / 26권 / 4호 / 41 ~ 69페이지
    · 저자명 : 김윤수, 이용만

    초록

    주택연금의 중도해지는 보증을 공급하는 한국주택금융공사나 주택연금에 가입한 가입자 측면에서 모두 위험요소가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출의 경과기간까지 감안하였을 때 어떤 유형의 소그룹이 중도해지 위험이 높은 그룹인지를 가입시점에서 확보할 수 있는 자료로 분석해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택연금 가입자를 유형별로 분류하여 생존분석을 실행하였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Kaplan-Meier 생존분석과 Cox 비례위험분석 결과 독신여부 변수에서는 ‘부부’<‘독신녀’<‘독신남’의 순서로 위험률이 높아 가설과 일치했다. 주택유형 변수에서는 거래하기가 용이한 ‘아파트’가 가장 위험률이 높을 것이라는 가설과 다르게 ‘단독주택’의 위험률이 가장 높았으며, ‘아파트’와 ‘다세대연립기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순서를 정할 수 없었다. 연령 변수에서는 가설과 일치하게 ‘80세이상’<‘70세이상~80세미만’<‘70세미만’ 순으로 젊을수록 위험률이 높았다. 가입 시 주택가격 변수에서는 ‘2억원미만’이 가장 위험률이 높았던 반면 특이하게도 ‘4억원이상~9억원미만’이 ‘2억원이상~4억원미만’보다 위험률이 높았다. 지급방식 변수에서는 가설과 같이 ‘대출상환방식’의 위험률이 가장 낮았으나, ‘종신방식’과 ‘확정방식’은 위험률이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직계존속동거여부 변수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변수가 아님이 밝혀졌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주택연금 가입자를 소그룹으로 세분하여 추가적인 생존분석을 하여 보았는데 KM 생존율 분석 결과 단독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70세미만 소그룹이 경과기간이 10년이 지나면 생존율이 약 20% 수준으로 급락하여 소그룹 중 가장 생존율이 낮은 그룹으로 나타났다. Cox 비례위험모형 분석 결과 독신여부 변수 중 ‘독신남’과 ‘부부’ 그룹에서, 주택유형 변수 중 ‘다세대연립기타’와 ‘단독주택’ 그룹에서, 그리고 연령 변수 중 ‘80세이상 그룹’에서 가입 시 주택가격 ‘2억원이상~4억원미만’이 ‘4억원이상~9억원미만’보다 위험률이 높게 나와 ‘4억원이상~9억원미만’이 ‘2억원이상~4억원미만’보다 위험률이 높게 나타나는 전체 결과와는 다른 결과가 나오는 그룹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가질 수 있는 시사점은 위험률이 가장 높은 소그룹이 ‘단독주택을 보유한 70세미만’ 가입자라는 것을 발견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소그룹에 속하는 가입자의 손실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주택연금의 중도해지모형을 구축하여 가입시점의 자료로 미래의 중도해지율을 예측하는데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ich small groups have high possibility of early termination with the data we can gather at the origination date. The results of a study on the survival analysis of Korean Home Pension(KHP) by Kaplan-Meier survival ratio model and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are as follows. First, in marital status, the hazard ratio of single male is the highest, and then single female, and the lowest is couple. Second, in house type, the hazard ratio of detached house is the highest. The hazard ratios of apartment and multi-family house have no difference in statistical significances. Third, in ages, the youngest group has the highest hazard ratio, and the oldest group has the lowest hazard ratio. Fourth, in house prices, the cheapest group has the highest hazard ratio, and then the most expensive group follows the cheapest group. The middle priced group has the lowest hazard ratio. Fifth, in product type, product for mortgage redemption has the lowest hazard ratio. Tenure payment option and Term payment option have similar hazard ratios. Sixth, the status of living together with children or parents is not a significant variable for early termination.
    Among small groups, ‘under seventies with detached house’ group has the lowest survival ratio. If ten years passes after origination, the survival ratio of the group drops to around 20%. Based on Cox proportional hazard ratio, single male, couple, multi-family house, detached house, and over eighties group have a different result with the entire group. The middle priced house has a higher hazard ratio than the most expensive hous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at KHFC can try to prevent the loss of ‘under seventies with detached house’ group by counseling them more strictly because the group has the highest possibility of early termination. Also, this study can help to estimate the early termination ratio of KH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부동산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