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황국(皇國) 재건”과 “반개(半開)의 문명화” : 메이지 초기 이와쿠라 도모미(岩倉具視)와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의 국가구상 (“Rebuilding the Imperial State” vs. a Civilization of the “Half-Civilized State” : Political Discourse of Iwakura Tomomi and Fukuzawa Yukichi on the Meiji-State Building right after the Restoration)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19.03
41P 미리보기
“황국(皇國) 재건”과 “반개(半開)의 문명화” : 메이지 초기 이와쿠라 도모미(岩倉具視)와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의 국가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제정치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정치논총 / 59권 / 1호 / 7 ~ 47페이지
    · 저자명 : 박영준

    초록

    메이지유신에 대해 일본을 포함한 서구 학계에서는 비서구 사회에서 예외적으로 근대화에 성공한 기점으로 인식하는 반면, 한국 사회에는 제국 일본의 제국주의와 군국주의가 개시된 기원으로 보는 경향이 강하다. 본 고에서는 메이지 정부의 실력자였던 이와쿠라 도모미(岩倉具視)와 당대의 대표적계몽사상가였던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가 메이지 초기에 작성했던 글을통해, 메이지 국가 초기 주요 정치가와 지식인들이 자신들의 국가적 성격과과제를 어떻게 규정하려 했던가를 확인하고자 했다.
    이와쿠라 도모미는 막부로부터 조정에 정권이 반환된 사실을 역사적 맥락에서 중시하여, 당대 일본의 과제를 황국(皇國)의 재건을 위한 권력의 집중화로 규정한다. 막번체제 하에서 250여개의 번에 권력이 상대적으로 분산되었다면 메이지의 일본은 천황을 정점으로 한 중앙정부에 지방정부가 일원적으로 통합되어야 하고, 조세제도, 재정제도, 군사제도 등이 역시 천황의 권력에 부속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다만 메이지 정부의 중심적 과제는 강병(强兵)보다는 부국(富國) 우선이 되어야 함도 강조한다. 주변 국가들과의 관계에서는 러시아 위협론을 제기하면서, 전통적으로 우호관계를 맺어온 청국과 조선에 대해서는 제휴론 혹은 연대론의 입장을 표명한다. 이같은 인식 하에서 정한론의 주장에 반대하고 있다.
    한편 후쿠자와 유키치는 문명의 기준에서 국제질서를 미개, 반개(半開), 문명의 국가들로 구성된 것으로 파악하고, 일본이 반개(半開)의 상태에 머물러있다고 진단한다. 그러한 일본으로서는 구미 국가들의 성취를 학습하여 문명의 상태로 나아가야 하는 것이 최대의 과제가 된다. 다만 문명화를 성취하기위해 후쿠자와는 정치지도자 보다는 일반 국민의 지덕 증진과 기풍 변화를중요 과제로 제기한다. 이러한 입장에서 후쿠자와는 유학이나 국체론 등을경계하고, 강병건설 우선론도 경계하고 있다. 대외정책과 관련하여 후쿠자와는 구미 열강 전체의 식민지 팽창 현상을 경계하면서, 일본으로서는 청국과조선에 대한 연대와 제휴에 주력할 것을 주장한다.
    이같이 이와쿠라와 후쿠자와의 담론을 통해 볼 때, 메이지 초기 일본의 주요 식자들은 국권론자나 민권론자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청국과 조선에 대한 대외정책 면에서는 제휴론의 성격을 갖고 있었다는 점에서 일치점을 보여주는 사례가 존재한다. 당시 일본의 국력이나 위상에 대한 현실적인 인식하에서 온건한 대외정책을 선택하는 공통점이 생긴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상대적 국력의 증진에 따라 이같은 대외정책은 변화될 개연성이 있었고, 1880년대 중반 이후 이같은 대외정책 변화가 국권론자와 민권론자 간에 공통적으로 나타났던 것이 아닐까 한다.

    영어초록

    Whereas Japanese or Western scholars have shed the light on the Meiji Restoration focusing on its achievement as a rare case of Western style modernization among non- Western countries, Korean society tend to demonstrate it as a beginning step toward the imperial expansion of Japanese militarism during the colonial period. Eliciting and analyzing the political discourse of Iwakura Tomomi and Fukuzawa Yukichi, exemplary politician and scholar at the time, I tried to reveal what vision had they have in terms of domestic society as well as foreign relations for a new Meiji state right after the restoration.
    Iwakura Tomomi, important political figure representing the court, interpreted the restoration as rebirth of imperial state and stressed the need of strengthening a new emerging state consolidating the imperial power of military, taxation, education and local administration. At the same time, he stressed the need of equal foreign relations with western countries preserving traditional friendly relations with China and Korea.
    As a representative scholar at the time, Fukuzawa Yukichi observed that Japan was located at the level of half-civilized state in-between barbarian state and full-fledged civilization state. Based on these observation, he asked Japanese people to develop its education, economy and law to reach a civilized state. In parallel with these tasks, he urged that Japan should support civilization process in China as well as in Korea to secure Japan’s security in the midst of Western encroachment in the region.
    These findings in this paper implies that there existed competing plural visions among Japanese politicians and intellectuals for a new state in the early Meiji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