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발달지체 유아를 보육하는 장애전담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어려움 탐색 연구: Text Mining 접근법을 활용한 인터뷰 분석 (Exploring the Perceptions of Professionalism and Challenges Amo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pplications of a Text Mining Approach to Interview Analys)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25.03
27P 미리보기
발달지체 유아를 보육하는 장애전담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어려움 탐색 연구: Text Mining 접근법을 활용한 인터뷰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 26권 / 1호 / 223 ~ 249페이지
    · 저자명 : 김다혜, 최은실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장애전담교사들이 인식하는 전문성을 분석하고,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지원 방안과영역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더불어 보육 과정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정책 입안 및 교사 지원을 위한 실천적 연구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장애전담교사 8명으로 구성되었다. 인터뷰는 어린이집 내 독립된 공간에서 진행되었으며, 인터뷰 내용을텍스트로 변환 후 자연어 처리를 거쳐 텍스트마이닝을 시행하였다. 분석에는 단어 빈도, TF-IDF, 감성분석 및 CONCOR 분석이 시행되었다. 위 과정을 통하여 교사들이 지각하는 전문성, 부모와의 의사소통에서의 어려움, 보육 과정의 어려움, 개선 요구 사항 등을 다각도로 확인하였다. [결과] 단어 빈도에서는 ‘장애’, ‘비장애’가 상위에 있으며, TF-IDF를 통해 질의별로 특정 단어가 등장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후 감성 분석을 통해 전문성에 대한 교사 인식에서 부정적인 단어의 사용 비율이 긍정이나 중립 단어보다 높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CONCOR 분석을 통해 2수준에서 4군집으로 분류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장애전담교사들이 전문성 향상과 지원체계 강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부모와의 의사소통에서의 아동 현 상황에 대한 전달의 어려움, 아동에 대한 이해의 어려움, 보조 인력 부족 등이 교사들이 반복적으로 언급한 주요 과제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사 연수 프로그램 강화, 객관적 자료 활용 방법 교육, 보조 인력 배치 확대 등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장애통합어린이집의 질적 향상을 위해 기관 내 협력 체계를 강화하고, 교사들이 자신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겠다.

    영어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effective support measures for teac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by analyzing their perceptions of professionalism and the challenges they experience in-depth. [Method] In this study eight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terviews conducted in a private kindergarten space were transcribed and processed us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s. Analyses included word frequency, TF-IDF, sentiment, and CONCOR, revealing insights into teachers’ perceived professionalism, communication challenges with parents, childcare difficulties, and areas for improvement. [Results] The participants included eight teachers. exclusively assigned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a private space within the daycare center. The interview data were transcribed into text, and text mining techniques were employed to perform word frequency analysis, TF-IDF analysis, CONCOR analysis, and sentiment analysis. These analyses comprehensively examined teachers’ perceptions of professionalism,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with parents, challenges in the childcare process, and their improvement demands.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ze the need for enhanced professionalism and strengthened support systems. Notably, teachers repeatedly highlighted key challenges, including difficulties in conveying children's current status to parents, understanding the children's needs, and the lack of support staff. To address these issues, policy measures such as strengthening teacher training programs, educating teachers on utilizing objective data, and expanding the allocation of support staff are essential. Furthermore, improving the quality of inclusive childcare centers requires fostering collaborative systems within institutions and creating environments where teachers can fully utilize their capabil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