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국에서의 디지털 콘텐츠의 공정이용항변의 적용과 한계-유튜브(Youtube)를 둘러싼 일련의 소송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the Fair Use Defense in US focusing on the Youtube Litigation and its implication to Korean Copyright Act for the enactment of a comprehensive and general fair use protection clause)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8 최종저작일 2008.12
20P 미리보기
미국에서의 디지털 콘텐츠의 공정이용항변의 적용과 한계-유튜브(Youtube)를 둘러싼 일련의 소송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저작권위원회
    · 수록지 정보 : 계간 저작권 / 21권 / 4호 / 42 ~ 61페이지
    · 저자명 : 최승재

    초록

    공정이용은 영국법을 계수하여 미국에서 판례법으로 발전하여 오다가 1976년 미국저작권법 제107조로 입법되었다. 미국저작권법 제107조는 4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하여 공정이용여부를 판단한다. 4요소 판단기준의 내용은 변형성과 상업성, 저작권의 내용을 보고, 저작물을 사용한 분량 내지 정도를 보고, 원저작물의 가치를 훼손하였는지를 본다. 이러한 기준의 적용에 대하여 미국 연방대법원의 판단은 Harper 사건에서 상업적인 사용의 경우 공정이용이 인정될 수 없다고 하였다가 Campbell 사건에서 각 요소를 서로 독립적으로 개별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고 하여 어느 한 요소가 절대적으로 우월적인 것은 아닌 것으로 정리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최초로 연방대법원이 공정이용을 인정한 Folsom 사건 이후 원저작물의 가치를 훼손하였는지 하는 것은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정된다.
    다만 공정이용과 관련한 전통적인 기준은 저작권이 상업적인 성격이 강해져 상업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는가 만으로 공정이용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게 되었고, 원저작물의 가치를 훼손여부의 판단도 순환논법에 그치는 경우가 많아 쉽지 않다. 따라서 기존 저작물에서 접근가능성의 확보라는 공익과 저작자의 보호라는 공익 중에서 형량을 통하여 사안별로 판단하여야 한다는 견해는 상당한 타당성을 가지고 있다고 본다.
    유튜브의 경우 이러한 공정이용과 관련된 논의에 비추어볼 때 유튜브의 2차적인 책임 부담과 관련하여 DMCA상의 면책을 받을 수 있을지 내지 교사책임을 부담할지는 글록스터 사건의 판례가 상당한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한편 유튜브 사용자들의 경우에는 저작권법상 공정이용이 현행법상 가능한 거의 유일한 항변으로 보이는 바, 4요소에 대하여 사용자별로 사실관계가 완전히 동일하지 않아 하나의 결론을 도출할 수는 없다. 다만 상당한 사용자가 책임을 면할 수 있을지는 향후의 미국의 공정이용과 관련된 논의지형에서 상당한 중요성을 띠며 우리법상의 일반적 공정이용조항 입법 필요성과 관련하여서도 시사점을 준다.

    영어초록

    Youtube is a case which shows the people in this planet that digitalization becomes a key word day by day and months by months. At the time when the Digital Millenium Copyright Act was enacted, there was a big debate over whether the traditional copyright act and its regime based upon that could be a solution to the problems coming after the millenium. Napster was the first very successful business model using Internet and digital music contents. RIAA and other contents holders contended their copyright on one side. On the other side of the war front, the proponents for freedom of speech and expression based upon the US Constitution Article 1 have argued against the copyright holders and put their emphasis on the protection of public domain and facilitation of new expressions based upon the incumbent writings, musics and other types of copyright subject matter. Sony case has been called as a Magna Carta for the protection of new device manufacturers. As a matter of course, Sony case was relied upon by the attorneys arguing for the internet service providers, but it was distinguished by the Glokster Court.
    YouTube is on the same line. Fair use in the US Copyright Act §107 becomes an extremely important issue. Fair use doctrine has been developed by US Supreme Court and other lower courts into a Four Prong Test. For the purpose of balancing the protection of public domain and copyright being supported by a number of big companies nowadays such as big software companies, big film companies and big music companies, fair use doctrine has been and will be a much more effective tool harmonizing the traditional cultural model and business model in the context of the copyright act at the same time. This fusion will make the fair use doctrine somewhat more generous to the content users by alleviating some degree of commercial uses. More detail has to be discussed in balancing the social values in our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