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구한말 위정척사파(衛正斥邪派)의 정치사상 (The political thoughts of ‘Wijeong cheoksapa’, in the latest Chosun dynasty)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08.06
24P 미리보기
구한말 위정척사파(衛正斥邪派)의 정치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행정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행정사학지 / 22호 / 37 ~ 60페이지
    · 저자명 : 우홍준

    초록

    우리는 좌파정권 10년 동안에 내부대립을 격화시킴으로써 국론이 분열되고 발전의 원동력이 상실되는 위기를 맞았었다. 이것은 다른 데에도 원인이 있지만 집권 좌파측이 관념상의 정의와 명분에 지나치게 집착하여 이론과 현실을 혼동했던데 가장 큰 원인이 있었다. 즉, 그들은 자본가와 노동자, 부유층과 빈곤층 간의 계급대립의 관념에 젖어 국민을 하나의 유기적 전체로 보지 못했고 민족통일, 자주독립, 친일청산, 균형발전 등의 용어가 지니는 언어의 감성적 호소력 자체에 붙잡혀 이론과 현실을 구분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이 점은 16 세기 이래 조선시대 지배층이었던 중앙과 지방의 광범한 사족층도 마찬가지였다. 이들은 명나라가 기울고 청이 욱일승천하는 대세임을 눈앞의 현실로 보고서도 중국만이 문화의 중심지고 나머지는 변방국가로서 모두 야만족이라는 이른바 화이관(華夷觀)에 젖어 당면한 위기를 국가보전의 위기로보다 문화보전의 위기로 보았다. 즉, 청나라 중심의 국제질서에 편입되는 것은 곧 국민전체가 야만족으로 전락하는 것이므로 나라가 망하고 국민전체가 죽는 한이 있더라도 그들과의 화친을 거부하겠다는 자세였다. 그리하여 청의 분노를 초래하여 국민전체로 하여금 병자호란의 막심한 치욕을 보게 하였다.
    이들은 과거의 이러한 경험에도 불구하고 19 세기 초 산업자본주의를 이룩한 서구외세가 원료공급처와 상품판매처를 찾아 우리나라의 문호개방을 요구해온 시점에 와서도 동일한 자세를 보인다. 즉, 명나라가 망한 지금 오로지 조선만이 소중화(小中華)로서 유일한 문화적 정통성을 계승하였다고 자부하고 서양외세를 야만이요 금수로 단정하였다. 그리하여 그들의 발전된 물질기술을 눈 앞에 보고서도 이를 의도적으로 외면하고 이들과 교통하여 짐승으로 되느니 차라리 나라가 망하는 한이 있더라도 이 도(道)와 더불어 죽겠다는 관념지상주의적 자세를 보였다.
    본 논문에서는 구한말 우리가 사상과 관념에 얽매여 현실과 실용을 외면함으로써 이후 우리자신의 운명에 있어 주도권을 상실하게 된 것이 당시의 지배층인 중앙과 지방의 광범한 사족층의 성리학적 사고에 그 원인이 있다고 보고, 이러한 관점에서 그들의 사상의 핵심적 특징들을 당시의 대표적 사상가였던 이항로와 그 제자 최익현의 사상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영어초록

    During the two successive left governments(Kim, dae joong and Roh, mu hyun) have passed, We nearly fell into the crisis of losing the rate and the motive power of economic growth. It was due to the antagonism between classes which originated in the two governments' naive confusion between theory and practice. They stuck to out-of- dated Marxism and wanted to practice it in the 21th century. They were too much impressed by the words themselves' appeal, ‘independence’, ‘national unification’, ‘equality’,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etc and mistook words for reality.
    This is also true to the governing class of Chosun dynasty during the two national crises. In the first, during the first 17 century, they stuck to 'MYUNG,(明) empire which was on the road of downfall in disfavor of 'CHUNG'(靑) which was newly rising from the boundary of China while they knew full well that the latter would be victorious over the former in the end.
    This seemingly foolish attitude of them came from their peculiar new Confucian thoughts and its world view. According to it, the earth is even. Its center is occupied by China which has the highest culture, and its around is occupied by the small countries which have low cultures and are barbarous. Facing the crisis of national downfall, the preservation of the civilization took precedence over that of nation for the governing class of Chosun dynasty for fear that they should be degraded into barbarians. As the result of this dogmatic attitude which disregarded real power situation, Chosun dynasty went nearly to its downfall and was subject to national disgrace in the face of the furious 'CHUNG' emperor who defeated 'MYUNG, in the end and invaded into Chosun.
    The same had happened in the latest Chosun dynasty with the same governing class of Confucian thoughts during the middle and latest 19 century. In face of the western powers which had achieved scientific and industrial development, and required the opening of trade towards Chosun, they refused the opening of trade stubbornly for fear that they should be contaminated by foreign barbarous civilization while they knew full well that their country could be faced with crisis of to be or not to be for this attitude of them. This all came from their peculiar world view(even world) and their persistent way of thought which confused between theory and practice, and gave precedence to the former over the lat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