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글로벌 금융위기가 근로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of Global Financial Crisis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Worker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17.12
23P 미리보기
글로벌 금융위기가 근로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취업진로학회
    · 수록지 정보 : 취업진로연구 / 7권 / 4호 / 21 ~ 43페이지
    · 저자명 : 이수아, 강순희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노동패널 원시자료를 활용하여 글로벌 금융위기가 이직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였다. 먼저 2007년과 2010년 2개년도 패널자료를 합동하여(pooling) OLS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였다. 첫째, 금융위기 이전에 비해 금융위기 이후에 이직의도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금융위기의 충격이 현재 일자리에 대한 불안감을 키우고 이직을 더 많이 고려하게 만들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둘째, 남성, 가구주일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그리고 연령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감소하고 있다. 이는 가족의 생계를 주로 책임지는 입장일수록 현 직장으로부터 이직에 대하여 더 신중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셋째, 정규직일 경우, 종사하는 사업체규모가 클수록, 관리전문직과 기술직의 이직의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넷째, 선행연구와는 달리 본 분석에서는 직무만족도가 이직의도와 정(+)의 관계를 보이고 있다. 다음으로 금융위기 이전과 이후를 나누어 비교분석한 결과, 금융위기 이전과 이후 모두 남성의 이직의도가 여성보다 낮으나 금융위기 이후 영향의 격차가 감소하고 있다.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에는 학력수준, 사업장 규모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직무만족도가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으나, 금융위기 이후에는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패널조사 문항의 한계로 인하여 선행연구나 이론에서 지적하고 있는 이직의도에 미치는 다양한 변수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점, 금융위기 등 외생적 사건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경로를 포함한 구조분석을 하지 못하였다는 점, 이직의도나 직무만족도 등에 대한 문항이 통상적인 이직의도나 직무만족도를 온전하게 측정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측정도구의 문제 등의 한계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별도의 자료나 추가적인 조사, 그리고 다른 방법론을 통하여 보완되어야 할 것이며 추후 과제로 남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Global Financial Crisis(GFC)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workers by using the data of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from the Korea Labor Institut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Pooling OLS analysis by pooling of 2007 and 2010 panel data, we found that there is an increase in turnover intention after GFC compared to before GFC. It is interpreted that the shock of GFC increased the anxiety about the current workplace and made to take more account of job separation. Secondly, male, householders, and as older age, are in a decline in turnover intention than if not so. This seems to be more cautious about leaving from the current workplace, as they are likely to be in the position that is primarily responsible for family livelihoods. Thirdly, the regular employment, the larger enterprise, the managerial, professional and technical workers have the lower turnover intention than if not so. Fourth, unlike the previous researches,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has a positive (+) relation with turnover intention. Next,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before and after the financial crisis, men's turnover intention were lower than women’s in both of before and after periods, but the disparity of gender effect has been decreasing since GFC.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partially mediated the influence of educational background and the firm size on turnover intention before GFC, but after GFC,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was not recognized. This study has some research limitations as follows. Due to restrictions of panel survey questions, we did not fully consider various influential variables on the degree of turnover intention that has been pointed out in the previous research and theory. We did not try the structural analysis including various paths that may influence the turnover intention, even though the exogenous incidents such as financial crisis influence the turnover intention through multiple paths. There may be the problem of the measurement tool that the questions about turnover intention, job satisfaction may not be able to properly measure the normal degree of those variables. These limitations should be supplemented through further study by another data, additional survey, and other research metho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