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고가 시각을 바꾼다: 조절 초점에 따른 소비자 감성기반 웹 스타일 평가 모형 및 추천 알고리즘 개발 (Individual Thinking Style leads its Emotional Perception: Development of Web-style Design Evaluation Model and Recommendation Algorithm Depending on Consumer Regulatory Focu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18.12
26P 미리보기
사고가 시각을 바꾼다: 조절 초점에 따른 소비자 감성기반 웹 스타일 평가 모형 및 추천 알고리즘 개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능정보연구 / 24권 / 4호 / 171 ~ 196페이지
    · 저자명 : 김건우, 박도형

    초록

    본 연구는 디자인 영역 중 웹 스타일에 대해서 소비자 감성과 만족과의 관계를 연구했다. 기존 웹 스타일 연구들은 웹의 레이아웃과 구조도 등과 색상 등이 감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연구했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차별되게 웹의 구성 요소를 배제하고 소비자의 감성 지표만을 갖고 소비자 만족과의 관계를 분석했다. 분석을위해 검증을 위해 소비자 204명을 대상으로 40개 웹 스타일 테마를 선정, 각 소비자에게 4개씩 평가하도록 하였다. 소비자에게 평가하도록 한 감성 형용사는 18개의 대비되는 쌍을 갖는 감성 형용사로 구성하였고, 요인 분석을 통해 상위 감성 지표를 추출했다. 각 감성 지표들은 ‘부드러움’, ‘모던함’, ‘명확함’, ‘꽉 참’ 이었으며, 감성지표들이 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으로 판단하여 가설을 수립했다. 분석 결과에 따라 가설 1과 2, 3은 채택되었으며, 가설 4의 경우는 기각되었다. 가설 4의 경우 기각되었지만 정의 방향이 아닌 부의 방향으로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조절 초점 성향이 감성이라는 정보처리 과정에서 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이다를 것으로 판단했다. 조절 초점 성향은 조직 행동 및 의사결정에 영향을 주기도 하며, 정치, 문화, 윤리적 판단 및 행동은 물론 광범위적 심리적 문제와 사고 프로세스, 감정적 반응에도 영향을 미친다. 때문에 각 감성 지표에 대한 조절 초점 간 차이를 확인할 필요성이 있고, 각 감성 지표에 대한 세부 가설을 수립했다. 세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조절 회귀 분석을 수행했다. 분석 결과 가설 5는 부분적으로 지지됐고, 가설 5.3만 지지되었고, 5.4의 경우 기각되었지만 가설과의 반대 방향으로 지지되었다. ‘명확함’의 경우 향상 초점이 소비자 만족에더 큰 영향을 보였고, 예방 초점일수록 ‘꽉 참’을 더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조절 초점성향을 향상, 예방, 중간 성향으로 3집단으로 구분, 소비자 감성 기반으로 웹 스타일에 대한 추천을 할 수 있는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영어초록

    With the development of the web, two-way communication and evaluation became possible and marketing paradigms shifted.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web design trends are continuously responding to consumer feedback. As the web becomes more and more important, both academics and businesses are studying consumer emotions and satisfaction on the web. However, some consumer characteristics are not well consider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age and sex have been studied extensively, but few studies conside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regulatory focus (i.e., emotional regulation).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effect of web style on consumer emotion. Many studies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eb and regulatory focus, but most concentrate on the purpose of web use, particularly motivation and information search, rather than on web style and design. The web communicates with users through visual elements. Because the human brain is influenced by all five senses, both design factors and emotional responses are important in the web environment.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emotion and satisfaction and web style and design. Previous studies have considered the effects of web layout, structure, and color on emotions. In this study, however, we excluded these web components, in contrast to earlier studie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 satisfaction and emotional indexes of web-style only. To perform this analysis, we collected consumer surveys presenting 40 web style themes to 204 consumers. Each consumer evaluated four themes. The emotional adjectives evaluated by consumers were composed of 18 contrast pairs, and the upper emotional indexes were extracted through factor analysis. The emotional indexes were ‘softness,’ ‘modernity,’ ‘clearness,’ and ‘jam.’ Hypothese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emotional indexes have different effects on consumer satisfaction. After the analysis, hypotheses 1, 2, and 3 were accepted and hypothesis 4 was rejected. While hypothesis 4 was rejected, its effect on consumer satisfaction was negative, not positive. This means that emotional indexes such as ‘softness,’ ‘modernity,’ and ‘clearness’ have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 satisfaction. In other words, consumers prefer emotions that are soft, emotional, natural, rounded, dynamic, modern, elaborate, unique, bright, pure, and clear. ‘Jam’ has a negative effect on consumer satisfaction. It means, consumer prefer the emotion which is empty, plain, and simple. Regulatory focus shows differences in motivation and propensity in various domain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decision making according to the regulatory focus tendency, and it affects not only political, cultural, ethical judgments and behavior but also broad psychological problems.
    Regulatory focus also differs from emotional response. Promotion focus responds more strongly to positive emotional responses. On the other hand, prevention focus has a strong response to negative emotions. Web style is a type of service, and consumer satisfaction is affected not only by cognitive evaluation but also by emotion. This emotional response depends on whether the consumer will benefit or harm himself.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difference of the consumer 's emotional response according to the regulatory focus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and viewpoint of the consumers about the web style.
    After MMR analysis result, hypothesis 5.3 was accepted, and hypothesis 5.4 was rejected. But hypothesis 5.4 suppor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hypothesis. After validation, we confirmed the mechanism of emotional response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regulatory focus. Using the results, we developed the structure of web-style recommendation system and recommend methods through regulatory focus. We classified the regulatory focus group in to three categories that promotion, grey, prevention. Then, we suggest web-style recommend method along the group. If we further develop this study, we expect that the existing regulatory focus theory can be extended not only to the motivational part but also to the emotional behavioral response according to the regulatory focus tendency. Moreover, we believe that it is possible to recommend web-style according to regulatory focus and emotional desire which consumers most pref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능정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