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웹캐스팅에 있어서 녹음물의 디지털 실연권에 대한 제한요건 (Exemption Of The Digital Performance Right In sound recordings In Webcasting)

1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7 최종저작일 2008.02
16P 미리보기
웹캐스팅에 있어서 녹음물의 디지털 실연권에 대한 제한요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 11권 / 1호 / 239 ~ 254페이지
    · 저자명 : 김진철

    초록

    여기에서 다루고자 하는 Bonneville 사건은 새로운 기술의 발전과 웹캐스팅의 등장, 또한 그로 인한 음반산업자들과 방송사업자와의 사이의 갈등에 대하여 이러한 웹캐스팅이 저작권법의 적용에 의하여 로열티를 지불해야 하는지 아니면 저작권법상 적용대상이라고 할지라도 그에 대한 예외조항의 적용으로 인하여 면책될 수 있는지에 관한 논의이다.미국의 경우에는 웹캐스팅에 대하여 다양한 입법을 통하여 저작권적 지위를 부여함과 동시에 1995년의 녹음물의 디지털 공연법(The Digital Performance Right in Sound Recordings Act; 이하 DPSRA), 1998년의 디지털 밀레니엄 저작권법(The Digital Millennium Copyright Act; 이하 DMCA), 2002년의 소규모 웹캐스터 처리법(Small Webcaster Settlement Act; 이하 SWSA), 2004년의 개정 저작권 로열티 및 분배법(Copyright Royalty and Distribution Reform Act; 이하 CRDRA)등의 후속입법에서 저작권에 대한 제한요건을 적용함으로써 온라인 음악시장의 공정경쟁을 도모하고 있다.의회의 이러한 개정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관련자들은 이 개정에 대하여 만족하지 않았으며 그들의 의무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은 점이 남겨져 있었다. 특히 소규모 웹방송업자들은 법정이용허락의 결정절차에 대하여 불만이 많았다. 따라서 이에 대하여 2002년의 소규모 웹캐스터 처리법(Small Webcaster Settlement Act) 및 2004년의 개정 저작권 로열티 및 분배법(Copyright Royalty and Distribution Reform Act)과 같은 후속입법이 이루어졌지만 음반산업계와 기존의 라디오 방송업자간에는 AM/FM 웹캐스팅에 있어서 녹음물의 디지털 실연권에 대하여 적용되고 있는 1개의 면책조항의 해석에 대하여 음반산업계는 로열티를 요구하기 위하여 면책조항의 배제를 주장하고 방송업자들은 면책조항의 적용을 주장하는 견해차이가 야기되었다. 여기에 관한 최초의 분쟁이 바로 Bonneville 사건이다.따라서 여기에서는 Bonneville 사건을 검토하고 미국저작권법상의 녹음물의 디지털 실연권에 관한 입법과정을 개관한 후, 우리법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Among the many questions about the legal landscape for webcasting, Bonneville International Corp. v. Peters clarifies how copyright law applies to your favorite AM/FM radio station's website. On October 17, 2003, the Third Circuit held that such "AM/FM webcasts" must pay a public performance royalty to owners of sound recordings, thus narrowly defining the digital public performance right exemption for a "nonsubscription broadcast transmission" codified at 17 U.S.C. 114(d)(1)(A).

    Positive though it may be, the Bonneville decision sorts out only one small strand within the intricate web of rules and exemptions that Congress has woven to create the limited rights available for sound recordings. The complex statutory compulsory licensing scheme that currently administers the digital public performance right seems out of sync with facilitating the exchange of licenses. Thus, as some copyright rules for webcasting become clearer, the system overall remains too byzantine to allow the online broadcasting industry to stabilize.

    This Note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Bonneville. Part I describes a conception of the webcasting, including AM/FM radio webcasting, internet webcasting, personalized internet webcasting Part II discusses the holding in Bonneville. Part III outlines the evolution of the digital performance right in sound recordings under the Copyright Act. Part IV describes the scope of exclusive right in sound recording and its limited types. Finally, Part IV proposes suggestions in Korea Copyright A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