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가배상법상 공무원 (Public officials under the State Compensation Ac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6 최종저작일 2023.03
31P 미리보기
국가배상법상 공무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법과정책 / 29권 / 1호 / 177 ~ 207페이지
    · 저자명 : 정선균

    초록

    국가배상청구권은 단순한 사법상의 손해배상청구권이 아니라 헌법상 기본권의 하나이므로 국가가 자신의 기관인 공무원의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에 대해서 피해자에게 배상을 하는 것은 자신에게 부여된 헌법상의 책무를 이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국가배상책임은 기관이론에 근거한 국가의 자기책임이며 국가배상관계의 당사자는 국가와 국민이므로 국가배상관계의 당사자가 아닌 공무원의 고의 또는 과실을 국가배상책임의 성립요건으로 요구하고 있는 국가배상법 제2조 제1항은 조속히 개정되어야 한다.
    또한 공무원의 개인적인 배상책임의 성립여부는 국가배상책임 성립의 전제요건이 되는 것이 아니므로 공무원에게 경과실이 인정되는 경우 공무원의 개인적인 손해배상책임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대법원의 입장도 다음과 같이 변경되어야 할 것이다. 즉 공무원이 직무집행과 관련없이 자연인의 신분으로 타인에게 불법행위를 저지른 경우에는 민법 제750조에 따라 중과실과 경과실을 가리지 않고 배상책임이 인정되며, 다만 공무원이 직무집행의 외형을 가진 상태에서 타인에게 불법행위를 저지른 경우에 공무원은 국가의 기관 혹은 도구에 불과하므로 공무원은 개인적인 배상책임을 지지 않고 오로지 국가만이 배상책임을 지게 된다고 보아야 한다.
    한편 국가배상관계에서 공무원은 집행자로서만 기능할 뿐이므로 그 공무원이 법주체성을 가지고 있는지 아니면 순수한 기술적인 집행만을 맡은 자인지는 전혀 중요하지 않다. 그러므로 국가배상법상 공무원은 공무원의 신분을 가진 자뿐만 아니라 공무수탁사인, 행정보조인 등도 포함될 수 있는데, 다만 공공단체와 같이 애초부터 특수한 공행정사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설립된 공법인은 국가배상법상 공무원에 포함될 수 없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변호사협회는 공무수탁사인으로서 국가배상법상 공무원에 해당하므로 이런 대한변호사협회에게 변호사 관리사무를 위탁한 국가에게만 손해배상책임이 인정될 뿐 대한변호사협회나 협회장 개인의 손해배상책임은 애초에 논할 이유가 없다.

    영어초록

    Since the right to claim compensation from the State is not a simple right to claim damages under civil law, but one of the fundamental rights under the Constitution, the State is fulfilling its constitutional obligations when it compensates victims for damages caused by illegal acts by public officials. Therefore, state compensation liability is the self-responsibility of the State based on the organ theory, and since the parties to the state compensation relationship are the State and the people, Article 2, Paragraph 1 of the State Compensation Act, which demands intentional or negligent public officials who are not parties to the state compensation relationship should be revised as soon as possible.
    As such, since the establishment of a public official’s personal liability for compensation is not a prerequisite for the establishment of State Compensation Liability, the Supreme Court’s position should be changed as follow that if the public official falls under light negligence the public official’s personal liability for damages does not exist : If a public official commits an illegal act against another person in the status of a natural person regardless of the performance of duties, the liability for compensation is recognized regardless of gross negligence or light negligence according to Article 750 of the Civil Act. However, if a public official commits an illegal act against another person while under the guise of performing duties, the public official at this time corresponds to an organ or tool of the State, and therefore the public official does not bear personal liability for compensation, only the State.
    Meanwhile, in relation to state compensation, a public official functions only as an enforcer, so it is not at all important whether the public official has legal subjectivity or is in charge of purely technical enforcement. Therefore, public officials under the State Compensation Act may include not only those who have the status of public officials but also public trustees and administrative assistants. However, public corporations established to handle special public administrative affairs, such as public organizations, cannot be included in the public officials under the State Compensation Act. In this regard, the Korean Bar Association is a public official under the State Compensation Act as an public trustee, therefore only the State that entrusted the lawyer management work to the Korean Bar Association is recognized as liable for damages, and there is no reason to discuss the liability of the Korean Bar Association or the President of the associ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과정책”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