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禱千手觀音歌의 새로운 解讀 (A New Readings of Docheonsukwanumga禱千手觀音歌)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17.12
23P 미리보기
禱千手觀音歌의 새로운 解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 45권 / 4호 / 7 ~ 29페이지
    · 저자명 : 남풍현

    초록

    이 향가는 新羅 景德王 때에 盲人이 된 5세의 어린이가 그 어미 希明과 함께 芬皇寺의 壁畫인 觀音像 앞에서 이 노래를 지어 빌어서 得明을 하였다고 하는 노래이다. 이는 10구체의 향가의 전형을 보여 주며 그 표기법이나 문법으로 보아 8세기의 노래로 추정된다. 이 노래의 表記法은 釋讀口訣의 表記法과 表裏의 관계를 가져 ‘讀字+假字’의 구성으로 이루어졌고 古代韓國語의 문법을 잘 반영하고 있다. 필자는 새로 발굴된 釋讀口訣과 吏讀 資料를 근거로 연구된 고대한국어의 표기법과 문법을 바탕으로 과거에 잘못 해독되었던 것들을 수정하면서 이 향가를 전면적으로 새로 해독을 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Docheonsukwanumga is a hymn to the Thousand-Armed Bodhisaatva. It describes the prayer of a mother named Himyeong and her blind child of five-years-old, to a wall painting of Bunwhang-Sa, a Buddhist temple. Through the prayer, they made wish to regain the child’s sight.
    This song shows a typical form of 10-line Hyangga. In terms of writing and grammar, it is presumed to be of the 8th century. The writing system of the song is intimately related to that of interpretative-reading Gugyeol and it’s grammar reflects that of ancient Korean. Based on the writing system and the grammar of ancient Korean which are revealed through recently found materials of interpretative-reading Gugyeol and Idu, I tried to make a whole new reading of the so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語文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