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트겐슈타인과 철학의 새로운 길 (Wittgenstein and the New Way of Philosoph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14.02
27P 미리보기
비트겐슈타인과 철학의 새로운 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 / 118호 / 111 ~ 137페이지
    · 저자명 : 이영철

    초록

    이 글은 비트겐슈타인 철학의 요점과 아울러 그것이 우리의 삶의 방식과 관련해서 지닐 수 있는 의의를 논하고 있다. 우선, 학적 인식 체계를 지향해온 서양 철학의 주된 흐름과는 달리, 철학을 진리나 지식이 아니라 뜻의 명료성을 추구하는 논리-문법적 활동으로서 보는 그의 철학관과 함께, 언어의 문법에 대한 오해로부터 발생하는 철학적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한 그의 방법이 고찰된다. 여기서, 사물을 보는 직관 방식의 변화를 가능케 하는 일목요연한 명료성의 획득이 ‘본래적인 발견’으로 간주되지만, 언어와 삶의 밀접한 연관은 철학적 문제들의 근원적 치료를 위해 우리의 삶의 방식의 변화까지 요구한다는 점이 주목된다. 비트겐슈타인에게서 그 변화 가능성―이것이 이 글 후반부의 주제를 이룬다―은 두 방향에서 이야기된다. 첫째는 그의 전기 철학의 윤리적 종교적 관점의 계승이라 할 수 있는 길로서, 각 주체가 스스로의 직관 방식 또는 태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자신의 삶의 세계(의 상(相))를 변화시키는 길이다. 둘째는 그의 정신에 공감하는 주체들이 연대하여 삶의 세계의 객관적 흐름을 변화시키는 길이다. 어느 쪽이든, 그 기본적인 생각은, 그 변화의 결과가 삶의 세계와 주체 사이의 일치가 실현되게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길은 문명과 진보가 아니라 명료성에 가치를 두는 문화를 지향하는 점에서 서양 철학의 주류와 구별되지만, ‘지혜의 사랑’으로서의 철학의 본래적 정신에는 오히려 충실한 길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deals with the gist of Wittgenstein’s philosophy, together with its significance in relation to the ways of our life. First, It focuses on his view of philosophy, which, in contrast to the mainstream of western philosophy that has been oriented to the theoretic-scientific system, sees philosophy as a logico-grammatical activity seeking not truth or knowledge but the clarity of sense, with his method of dissolving philosophical problems originating from the grammatical misunderstandings of our language. According to him, ‘the real discovery’ is the acquisition of perspicuous clarity which makes possible the change in our way of looking at things, but the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life makes it equally necessary, for the eradication of philosophical problems, to change our way of life. And the change is said to be possible in two ways, which is the theme of the latter part of this paper. The first, which can be viewed as the successor of his earlier ethico-religious point of view, is for each person as a subject to change his attitude so that the aspects of his life-world be changed. The second is for the subject-persons in solidarity, who are in sympathy with his spirit, to participate in the change of the direction of the real currents of the world. Either way, the basic idea is the same: to achieve, as the result of the change, the agreement of the subject and the world. Wittgenstein’s way of philosophizing, oriented not to the civilization and its progress but to the culture valuing in clarity, is different from the mainstream of western philosophy. But it can be more loyal to the original spirit of philosophy as the ‘love of wisdo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