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의 유배우 여성의 경제활동 유형이 자녀의 사교육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rried women’s economic activity type on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for children in Korea)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12.08
34P 미리보기
한국의 유배우 여성의 경제활동 유형이 자녀의 사교육비 지출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보장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보장연구 / 28권 / 3호 / 87 ~ 120페이지
    · 저자명 : 석재은, 김봉근, 노혜진

    초록

    소득불평등, 양극화가 현재의 문제에 그치지 않고 부모세대를 넘어 자녀세대에게까지 계층 이동성을 제약한다는 것은 훨씬 더 심각한 문제이다. 이 연구는 세대 간 계층 비이동성을 야기하는 핵심적 요인으로 계층별 자녀교육비 지출 격차에 주목하는 동시에 자녀의 사교육비 투자에 실질적 결정자라 할 수 있는 엄마의 역할에 주목하여, 엄마의 경제활동 유형에 따른 자녀의 사교육비 투자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엄마의 경제활동 특성을 군집분석을 통해 독립형, 생계형, 보탬형, 비경제 활동형으로 유형화하고, 한국 엄마의 경제활동의 특성에 따라 소득계층별로 자녀 사교육비 지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한국노동패널자료 10차 및 11차 자료 중 근로연령층(20-59세) 유배우 및 유자녀(만 5-18세) 가구를 추출하여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소득 5분위의 사교육비 지출수준은 소득 1분위의 5.4배였으며, 여성의 경제활동 유형별로는 독립형이 월 38.4만원으로 가장 높고, 비경제 활동형 월 34.1만원, 보탬형 월 28.3만원, 생계형 월 19.6만원 순이었다. 그러나 가구소득 등을 통제한 상태에서 엄마의 경제활동 유형이 자녀 사교육비 지출수준에 미친 영향에 대한 다중 회귀분석 결과는 비경제활동형>독립형>생계형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보탬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소득계층 집단별로 분석한 결과에서는 고소득층 집단에서는 비경제 활동형에 비해 독립형이 유의미하게 자녀 사교육비 지출수준이 낮았고, 중간소득층 집단에서는 비경제 활동형에 비해 생계형이 유의미하게 동 지출이 낮았으며, 저소득층 집단에서는 여성의 경제활동 유형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은 경제활동 취업여성보다 비경제활동 전업주부가 가용한 물질적 자원에 여유가 있으며, 비경제활동 전업주부들이 풍부한 시간자원을 활용하여 자녀의 사교육을 더 원활히 지원하는 행태가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즉, 자녀의 사교육비 투자가 부모의 ‘경제적 자원’과 ‘시간적 자원’의 함수라고 할 때, 본 연구결과에서 시간자원 역시 경제적 자원과 마찬가지로 사교육 투자 불평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영어초록

    It would be a very serious problem if the income inequality and polarization are transmitted from the parent’s generation to the next generation and restrict the social mobility of the children’s generation. This study focused on the role of mothers, the practical decision-makers in relation to the investment in their children’s private education, while bringing the focus to the disparity in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for children among different social classes, the essential factor that causes intergenerational social class immobility. This study attempted to take an empirical approach to the issue mentioned above on the assumption that the investment in the children’s private education would be affected by the type of mothers’ economic activities. Thus, the characteristics of mothers’ economic activities were classified into several categories, i.e., independent type, livelihood type, financial supplementation type, and noneconomic activity typ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groups, and this study attempted to determine the effec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others’ economic activities would have on the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for children by income class.
    For the analysis, the data were obtained by sampling the households with married spouse and children(aged between 5 and 18) among the working age class(aged between 20 and 59) from the 10th and 11th editions published by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The per-capita expenditures for children’s private education were examined by income quintile. It was found that the monthly per-capita spending on the private education for children was KRW 96,000 in the lowest 20% income bracket and KRW 514,000 in the highest 20% income bracket. This shows that the per-capita expenditure for the private education of children in the highest income bracket was approximately 5.4 times higher than that for the private education of children in the lowest income bracket. Based on the type of women’s economic activities, the monthly per-capita expenditure for the private education of children was KRW 384,000 among the independent type, the highest, followed by the non-economic activity type with KRW 341,000, financial supplementation type with KRW 283,000, and livelihood type with KRW 196,000.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 pertaining to the effec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others’ economic activities would have on the expenditure for the private education of children - showed that the noneconomic activity type had the largest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for children, followed by the independent and livelihood type, when the household income, etc., were controlled. Meanwhile, the financial supplementation type did not exhibit statistical significance.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by income class, it was found that the independent type had significantly lower expenditure for the private education of their children compared to the noneconomic activity type in the high income class, while the livelihood type had significantly lower expenditure for the private education of their children compared to the noneconomic activity type in the mid-level income class.
    Meanwhile, the type of women’s economic activiti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low income class. Those results imply that full-time house wives who are not engaged in economic activities have more available material resources compared to the working women and tend to have more free time and leverage to provide support for the private education of children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보장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