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바디우 철학에서의 존재, 진리, 주체: 『존재와 사건』을 중심으로 (Etre, vérité et sujet dans la philosophie d'Alain Badiou : autour de L'être et l'événement)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11.11
37P 미리보기
바디우 철학에서의 존재, 진리, 주체: 『존재와 사건』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집 / 27권 / 79 ~ 115페이지
    · 저자명 : 서용순

    초록

    이 연구는 지난 세기의 근대 철학 비판을 계기로 성립한 바디우의 진리철학의 윤곽을 제시하고, 그 철학적 함의를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바디우의 진리철학은 존재론에서 시작한다. 그는 존재를 일자가 아닌 다수로 파악하면서 존재를 비일관적 다수로 정의하고, 일자를 단지 비일관적 다수에 일관성을 부여하기 위한 작용으로 파악한다. 그는 집합론을 통해 존재론을 재구축하고, 존재의 질서에 공백이 편재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사건의 가능성을 존재의 질서 자체에 내재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사건은 이러한 공백의 분출로 결정 불가능한 것이 출현하는 과정이다. 사건이 결정불가능하다면 이러한 결정 불가능한 것을 결정하는 개입의 과정이 필요하고, 이러한 결정을 통해 사건은 상황 속에 실존하는 것이 된다. 이는 상황에 개입하는 선언으로서 이후에 사건에 충실한 실천들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충실성이 행하는 실천은 탐색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어떤 다수가 사건과 접속되어 있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탐색하는 실천이다. 이러한 하나하나의 탐색이 무한히 펼쳐지는 것이 바로 사건에 대한 충실성이고, 그 충실성의 작인이 바로 바디우가 주체라고 부르는 것이다. 바디우는 그 실천을 주체가 상황의 언어를 통해 상황에 준거물을 갖지 않는 유적인 부분집합을 명명하기를 지속하는 언어적 실천으로 규정한다. 사건으로부터 구성되는 이 유적인 부분집합이 바로 진리가 갖는 새로움의 형상이고, 이러한 새로움이 상황의 항목으로 인정받을 때 비로소 진리는 상황을 유적으로 확장된 상황으로 바꾸어 놓음으로써 상황을 변화시킨다. 결국 바디우의 진리철학은 사건을 통해 성립한 주체적 충실성이 진리를 상황에 강제함으로써 상황을 변화시키는 혁명적 변화의 과정을 합리적인 방식으로 정당화한다는 점에서 상황 변화의 동력으로서의 진리와 주체를 다시 사유하는 근대적 철학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Cette étude a pour but de montrer le contour de la philosophie des vérités chez Alain Badiou et de révéler son implication. Celle-là commence par l'ontologie. Badiou considère l'ê̂tre non comme Un, mais comme multiple; l'ê̂tre se définit comme multiple inconsistant et l'un n'est qu'une opération pour attribuer la consistance aux multiples inconsistants. Dans ce processus, l'ontologie se réorganise par la théorie des ensembles. Badiou montre que le vide est omniprésent dans l'ordre de l'ê̂tre. Le résultat: la possibilité de l'événement est immanente dans cet ordre. L'événement est un processus où apparaî̂t l'indécidable à travers le surgissement du vide. Comme l'événement est indécidable; il est nécessaire de décider l'indécidable: le processus de l'intervention. L'événement incertain ne devient existant que par cette décision mê̂me. Il s'agit d'une déclaration qui intervient à la situation. Et se produisent ensuite des pratiques fidèles à l'événement. La principale forme de ces dernières constitue l'enquê̂te qui recherche la connexion ou la non-connexion d'un multiple à l'événement. La fidélité à un événement est la suite infinie de chaque enquê̂te qui traite toujours de multiples un par un et l'opérateur de la fidélité est ce que Badiou appelle le sujet. Badiou désigne cette pratique en tant que pratique langagière où le sujet continue à nommer, par la langue de la situation, l'ensemble générique qui n'a pas de référent dans la situation. Ce multiple générique constitué à partir de l'événement sera la figure de la nouveauté que porte une vérité; quand cette nouveauté est reconnue comme terme de la situation, la vérité change enfin la situation en transformant la situation en l'extention générique. On dira que la situation est forcée par la vérité. La philosophie badiousienne des vérités justifie alors de façon rationnelle le processus de changement révolutionnaire où la fidélité subjective établie par l'événement transforme la situation en la forçant à accepter une vérité générique. La philsophie de Badiou est, en fin de compte, une nouvelle philosophie moderne qui repense la vérité et le sujet en tant que moteur de transformation de la situ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