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정보 콘텐츠 서비스의 구성 및 개발 (Composition and Development of Archival Content Service for Teaching-learning Materials)

5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5 최종저작일 2007.10
56P 미리보기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정보 콘텐츠 서비스의 구성 및 개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록학회
    · 수록지 정보 : 기록학연구 / 16호 / 203 ~ 258페이지
    · 저자명 : 심성보

    초록

    최근 국가기록원과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 등 한국의 주요 아카이브즈와 매뉴스크립트 보존소는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기록정보 서비스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에, 영국의 TNA와 미국의 NARA 및 LC에서 제공하고 있는 학생과 교사 대상의 기록정보 서비스 선진사례에 대한 분석과, 한국의 기록관리 현실 및 교육과정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하여, 학생과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기록정보 서비스의 개발과정에서 발생할 주요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의 해결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학생과 교사 대상의 기록정보 서비스는 ‘서비스 개발을 통한 이용 활성화’와 ‘기록관리 품질의 점진적 향상’이라는 목적하에 진행되어야 한다.
    고객군은 ‘한국사 교수․학습 당사자로서의 학생과 교사’로 세분화하여 식별할 수 있다. 교육과정과 교육환경을 분석한 결과, 기록정보는 교수․학습자료용으로 개발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기록정보를 콘텐츠화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서비스의 성격은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정보 콘텐츠 서비스’로 개념화할 수 있다.
    콘텐츠 서비스를 개념화하고 구성한 후 실제로 개발하는 전과정에서는 다음의 사항이 핵심적이다.
    첫째, 고객 중심의 서비스로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기록관리의 체계화와 전통적인 기록관리 서비스의 활성화에도 기여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용 서비스 담당자를 중심으로 한 협업체계가 구축되어야 한다.
    넷째, 기록정보와 주제별 교수․학습활동이 연계될 수 있도록 개발되어야 한다.
    다섯째, 콘텐츠의 수량보다 콘텐츠의 품질을 우선으로 해야 한다.
    여섯째, 다른 기관과의 서비스 제휴를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한편, 초․중․고 교육과정이 개정되어 2011년에는 모든 국사 교과서가 새로운 내용으로 보급될 예정이고, 서책형 교과서뿐만 아니라 디지털 교과서도 개발되고 있는 상황에 비추어볼 때, 이 시기에 학생․교사 대상의 서비스가 획기적으로 발전된다면, 기록문화의 창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시기를 적극 활용하여, 한국사를 교수․학습하는 430만명의 학생과 1만 4천명의 교사가 한 학기에 한 번 이상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정보 콘텐츠 서비스로 교수․학습하게 한다는 비전을 수립하고,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정보 콘텐츠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개발․보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추진할 것을 제언한다.
    첫째, ‘고객 중심의 서비스’ 개념을 확립하고 체계화해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심도 깊게 분석해야 한다.
    셋째, 교육용 기록정보 콘텐츠 서비스 방법론을 개발해야 한다.
    넷째, 기록관리 전문가집단과 교사집단의 전략적 협력체계를 수립해야 한다.
    다섯째, 2011년까지의 단계별 추진 과제와 추진 일정을 수립해야 한다.
    기록문화의 창달을 위한 알찬 씨앗이 초․중․고등학교에도 하루빨리 뿌려지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Nowadays Korean main archives and manuscript repositories are planning to develop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for students and teachers in their web sites.
    This study is aimed at discovering main issues of developing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for students and teachers and finding a solution.
    The goal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for students and teachers is the promotion of use through launching service and the gradual growth of archival management program.
    The customer group is segmented into the students and teachers who are learning and teaching Korean history in classroom. As a result of analyzing curriculum and educational environment, the archival information must be developed into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the processing archival information into archival content is needed. Consequently the character of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for students and teachers is conceptualized as
    archival content service for teaching-learning materials.
    At every step of developing archival content service for teaching-learning materials, the next main points are considered and achieved.
    First, the strategy of customer-focused service must be the same frombeginning to end.
    Second, the growth of traditional archival management(e.g. classification, description and finding aids) must be contributed.
    Third, the collaboration system leading by professional education staff must be organized.
    Fourth, the archival information must be related with teaching-learning activities.
    Fifth, the quality of content is more important than the quantity of it.
    Sixth, the networking with another agencies for cooperation must be conside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록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