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열규의 ‘욕’에 대한 미학, 그 의의와 한계* (The Aesthetics of ‘Swearing’ in Kim Yeol-gyu’s Works: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3.08
22P 미리보기
김열규의 ‘욕’에 대한 미학, 그 의의와 한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27권 / 3호 / 29 ~ 50페이지
    · 저자명 : 서유석

    초록

    본고는 김열규의 다양한 학문적 성과 중에서 그가 보여준 ‘욕’에 대한 시선, 그리고 스스로 자신의 저작 제목으로 삼고 있는 ‘욕에 대한 미학’을 살피는 것을 주요한 연구 목적으로 삼는다. 김열규는 욕을 문화와 규범의 경계를 순간적으로 넘어서 폭발된 것으로 본다. 이는 욕을 지극히 감정적인 상태의 촉발로 살피는 것으로, 욕은 발화되는 게 아니라 폭발된다고 설명하면서, 욕이 드러내는 ‘감정’에 주목한다. 즉 인간은 감정을 분출하기 위해서도 욕을 하지만 동시에 감정을 달래기 위해서도 욕을 하는데, 이것은 한국적인 맺힘과 풀림, 한과 신명으로 연결될 수 있다고 본다. 욕을 ‘카타르시스의 미학’이라고 풀어낸 것도 같은 의미 선상에 있는 것이다. 김열규는 욕의 대상, 정확히는 욕이 비유적 소재로 삼고 있는 대상을 다양하게 나열하고 있지만, 사실 김열규가 보여주는 욕의 비유적 소재들은 모두 인간의 ‘몸’과 관련된 것이다. 인간의 성, 인간의 육체(장애를 포함하는)에 집중된 욕에서 드러나는 인간의 육체는 우리 모두에게 평등하게 적용되는 것이기에, 육체를 비유로 사용하는 욕은 약자가 강자를 쉽게 격하시키고 순간적인 공포와 웃음을 드러낼 수 있는 강력한 무기가 된다. 김열규가 보여주는 욕의 소재와 대상들은 바흐친의 그로테스크 리얼리즘으로도 설명 가능하며, 이는 보편적인 민중문화가 가지고 있는 속성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Kim Yeol-gyu's perspective on 'swearing' and his exploration of the 'aesthetics of swearing,' a title he has chosen for his own work, amidst his various scholarly achievements. Kim Yeol-gyu views swearing as a momentary outburst that surpasses cultural and normative boundaries. This perspective emphasizes the highly emotional state that underlies swearing, highlighting that it is not a mere verbal expression but rather a burst of intense emotions. This draws attention to the 'emotions' laid bare through swearing. In essence, humans swear not only to vent their emotions but also to alleviate them, connecting this phenomenon to the concepts of restraint and release, han (deep-rooted melancholic pain), and shinmyung (excitement and exhilaration) in Korean culture. Kim Yeol-gyu's use of the term 'aesthetics of catharsis' to describe swearing aligns with this perspective. While Kim Yeol-gyu presents a diverse range of subjects as targets of swearing, he metaphorically relates them all to the human 'body'. The human body, including its sexuality and physicality (including disabilities), becomes the central focus of swearing. As it equally applies to all individuals, using the body as a metaphor in swearing becomes a potent weapon, enabling the weak to confront the powerful and revealing both momentary fear and laughter. Furthermore, Kim Yeol-gyu's depiction of the subjects and themes in swearing can also be understood through Bakhtin's concept of grotesque realism, which is an inherent characteristic of universal folk cul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