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문무왕의 삼국통일전쟁과 해양ㆍ호국 - 東海口 장례의 史的 전제 (King Munmu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cean and the country during the period of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4 최종저작일 2021.12
22P 미리보기
문무왕의 삼국통일전쟁과 해양ㆍ호국 - 東海口 장례의 史的 전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신라문화 / 59권 / 137 ~ 158페이지
    · 저자명 : 이재석

    초록

    본고는 신라 문무대왕과 해양ㆍ호국의 관계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삼국통일전쟁의 완수 과정에는 수군을 동원한 당군의 축출과 왜군의 제압이 필수적이었으며 또한 그만큼 수군과 해양의 중요성이 재인식된 시기였다. 문무왕 3년(663)에 船府署의 卿 2인 설치와 동 18년의 船府 別置을 둔 것은 그런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으며 아울러 船府(署)의 병부로부터의 이탈은 船府(署)卿 설치 단계에서 이미 시작되고 있었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점을 지적하였다.
    문무왕의 장례에 관해서는 현재 散骨說과 藏骨說이 있는데 어느 쪽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쉽게 단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다만 문무왕의 사망 직후에 만들어진 “신라문무왕릉지비”가 예컨대 태종무열왕의 “太宗武烈大王之碑”와 달리 ‘왕릉’의 비로 명기하고 있는 점은 당시 신라인이 문무왕의 무덤에 대해 ‘왕릉’으로 인식하고 있었음을 보여주기 때문에 산골이든 장골이든 간에 문무왕=해중 왕릉이라는 인식은 이미 당대의 인식으로서 성립해 있었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또한 문무왕의 호국 의지에 관해서는 종래 감은사-호국용-대왕암-“欲鎭倭兵”으로 연결되는 서사 구조로 이해하는 경향이 강하다. 하지만 필자는 “문무왕릉지비”가 사천왕사 앞에 立碑된 점, 생전의 문무왕의 호국 의지 피력이 사천왕 신앙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점, 실제 사천왕사를 조영한 이가 또한 문무왕 자신이란 점 등을 근거로 감은사-“欲鎭倭兵”으로 이해하기보다는 사천왕사-전방위 수호라는 맥락에서 이해하는 것이 문무왕의 실제 염원에 가깝다고 생각한다. 당시 신라 수호에서 가장 당면 적국은 당이며 왜국은 그에 비하면 부차적인 존재였다. 따라서 문무왕의 호국 의지는 일차적으로는 당을 향하는 것이었으며 그런 염원은 사천왕사 건립과도 맞닿아있는 것이었다.
    문무왕 생전에 미완에 그친 감은사(진국사)의 조영 의도에 왜국에 대한 제어 심리가 작용하였을 가능성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왜국에 대한 방비는 四方에 대한 방비의 일부분이기 때문에 사천왕 신앙적인 호국관과 서로 모순되는 것은 아니었다. 아울러 문무왕에게 동해가 갖는 의미는 왜국 방비가 아니라 國都 경주의 지근거리의 바다에서 신라를 수호하겠다는 점에 보다 본질적인 무게감이 있었다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King Munmu of Silla and the maritime and patriotism.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 Three Kingdoms Unification War, the expulsion of the Tang army and the suppression of the Japanese army by mobilizing the navy were essential, and it was a time when the importance of the navy and the sea was re-recognized. The maintenance of Seon-bu (Government office for Vessel) by King Munmu can be understood from that point of view.
    Regarding the funeral of King Munmu, there are currently two opinions, sowing bones or Keeping bones. However, the fact that the “Silla Munmu's Royal Tomb Monument,” which was created shortly after King Munmu's death, stipulates it as a monument to the Royal Tomb shows that the Silla people at that time recognized the tomb of King Munmu as a “king tomb.”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perception that King Munmu's tomb was the underwater royal tomb was already established as a perception of the time.
    In addition,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ing Munmu and Sacheonwangsa Temple,I think it is reasonable to understand King Munmu's will to protect the all directions through Sacheonwangsa Temp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