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쇼핑 구매의 변화에 대한 시계열 분석 (Time-series Analysis on the Impact of COVID-19 on Online Shopping Purchase)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22.02
13P 미리보기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 쇼핑 구매의 변화에 대한 시계열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한국디지털무역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디지털무역리뷰 / 20권 / 1호 / 97 ~ 109페이지
    · 저자명 : 신충호, 조혜진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쇼핑 구매의 변화가 코로나19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인함인지 여부를 평가하기 위해 시계열 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코로나19의 확산시점이 온라인 쇼핑 구매의 변화와 유의미하게 일치하는지 분석한다. 온라인 쇼핑 내 웹 기반과 모바일기반 쇼핑 구매 자료를 나누어 분석하는데, 시계열 기반 자료분석을 위한 ARIMA모형을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코로나19 단계가 온라인 쇼핑 거래의 변화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본다.
    논문구성/논리: 본고의 구성을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연구 배경과 동기를 소개하고 제2장에서는 온라인 쇼핑 및 코로나19의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를 제시한다. 제3장에서는 실증연구방법 및 자료를 설명하며 제4장에서 실증분석으로 도출한 결과를 제공한다. 마지막 제5장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 및 결과에 대해 논하며 정리한다.
    결과: 2019-2020년의 온라인 쇼핑 구매의 시계열 자료를 분석한 결과 코로나19의 발전단계가 온라인 쇼핑 구매의 변화 시점과 유의미하게 관련되어 있음이 나타났다. 코로나19 상황의 심각성이 일정수준 공유된 시점을 기준으로 온라인 쇼핑 구매가 상당히 증가하였으며 최근 몇 년 간의 전자상거래시장의 성장을 코로나19가 가속화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쇼핑을 크게 웹 기반과 모바일기반으로 구분했을 때 웹 기반 쇼핑이 모바일 쇼핑보다 변동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독창성/가치: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의 시계열자료 분석을 통해 전자상거래의 급속한 성장에 코로나19가 직접적으로 미친 영향력을 분석했으며, 전자상거래의 성장에 있어 실제로 코로나19가 의미있는 영향력을 미쳤음을 제시하였다. 이로 인해 오프라인의 수요가 온라인 쇼핑으로 옮겨왔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쇼핑을 웹기반 및 모바일기반으로 나누어 분석하여 전자상거래 채널별로 코로나19의 영향력을 비교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 간의 차이는 온라인 쇼핑도 채널별로 구분해서 연구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COVID-19 on online shopping purchases. To assess whether the change in online shopping purchasing patterns is a direct consequence of COVID-19, we employ a time series analysis to see whether the COVID-19 development phase coincides with an effective change in online shopping purchase. Specifically, we separately analyze web-based and mobile-based shopping purchases. We adopt an auto-regressive integrated moving average(ARIMA) model to analyze the time series data of online shopping transactions to match how the COVID-19 phase is related to the change in online shopping transactions.
    Composition/Logic: This paper is organized as follows. In the first section, we introduce the research background and motivation of this study. Secondly, the literature review on online shopping and the impact of COVID-19 is provided. The third section explains the empirical setting and data for this research. Next, we provide the empirical results, followed by a discussion of the findings.
    Findings: Based on the time series data of online shopping purchase during 2019 –2020, we show that the COVID-19 phase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oint of change in the online shopping purchase. As online shopping purchases in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period when the severity of the COVID-19 was shared to a certain level, it can be seen that COVID-19 accelerated the growth of the e-commerce market in recent years. Also, we find that when online shopping was largely divided into web-based and mobile-based forms, web-based shopping showed less volatility than mobile-based shopping.
    Originality/Value: This study analyzes the direct impact of COVID-19 on the growth of e-commerce through time-series data analysis, and suggests that COVID-19 had a meaningful impact on the growth of e-commerce. This indicates that offline demand has shifted to online demand. Furthermore, we address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e-commerce channels and compare the web-based and mobile-based online shopping purchas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study online shopping separately by chann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