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예비교사 온라인 멘토링 봉사 프로그램 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Preservice Teachers’ Online Mentoring Service Program)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3 최종저작일 2022.02
12P 미리보기
예비교사 온라인 멘토링 봉사 프로그램 사례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과교육학연구 / 26권 / 1호 / 80 ~ 91페이지
    · 저자명 : 박은정, 최원호

    초록

    본 연구는 전남지역 국립대학교 예비교사 원격 멘토링 봉사 프로그램의 사례 연구를 다루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해공교육에서 학생간의 급격한 학력 차이가 발생되었고, 사각지대에 놓여 교육을 제대로 받지 못하는 중고교 학생들이 많은실정이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대학 기관으로의 지원을 통해 공교육 활성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멘토링 봉사 프로그램은 여러 프로그램 중 하나로 공교육 지원, 즉 봉사 멘토링을 통해 교육적 도움이 필요한 중학생을 돕는 목표로 진행되었으며, 이 프로그램의 참여 대상은 사범대학 각 소속학과 예비교사들이며 교육 대상은 기초학력 미달 중학생이었다.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하여 멘토링 봉사 프로그램은 원격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원격 멘토링 봉사프로그램의 사례연구를 보여줌으로써 21세기 테크놀로지 시대에 교육을 이끄는 예비교사들에게 원격 멘토링 봉사활동을장려하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으로는 프로그램의 추진 배경, 내용, 방법이고 영어교육과 멘토링 활동 과정을 그 사례로 살펴보고자 한다. 결과는 참여 멘토들의 경험, 성찰 및 느낀점과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중학생들의 만족도 조사 결과를 토대로 기술되었다. 본 연구는 이해관계자들(stakeholders)이 멘토링 봉사단 프로그램의 취지와 목적에 대해 상호 이해, 존중, 협력하고 개선점을 보완하도록 하며 원격학습 커뮤니티 조성의 방향을 이끌어야 한다는 교육적 제언을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is is a case study of an online mentoring service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at a national university in Jeollanam-do. COVID-19 caused a drastic severe gap in academic achievement among students in public education, and there are many secondary school students who are left in a blind spot, without receiving proper education. To address the situ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accelerating its efforts to revitalize public education through support f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he online mentoring program in this study was one of several programs designed to help middle school students in need of educational assistance through public education support, that is, volunteer online mentoring. Preservice teachers studying in the nine departments at the College of Education served as online mentors, and the target mentees were middle school students with below-average basic academic skills. In consideration of the COVID-19 situation, the mentoring pro gram was conducted online as a remote cla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a case study of an online mentoring service program, to eventually promote online mentoring service activities for preservice teachers who will lead education in the 21st century technology era. Key areas of the study included the background, contents, and method of the mentoring program, and mentoring activities were presented as exampl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esented the experiences and reflections of the participating mentors and the results from the satisfaction survey with the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Based on the study, suggestions were made that stakeholders should understand, respect,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for the gist of the mentoring program, continue working on to make further improvement, and lead the direction of the distance learning commu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