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육열 현상으로서의 저출산: 중산층 기혼자의 자녀 수 결정 배경과 양육방식 (Low fertility as education fever phenomenon: Family building process and child-rearing practices among middle class married couples)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1 최종저작일 2017.06
34P 미리보기
교육열 현상으로서의 저출산: 중산층 기혼자의 자녀 수 결정 배경과 양육방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사회학연구 / 27권 / 2호 / 1 ~ 34페이지
    · 저자명 : 김경근, 최윤진

    초록

    한국 사회에서 저출산을 야기하는 가장 핵심적인 요인으로 과중한 양육비 부담이 지적되고 있는데, 이는 교육열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 자녀에 대한 성취욕구인 교육열은 과중한 교육비 부담을 통해 자녀의 수보다는 자녀의 경쟁력을 중시하는 방향으로의 선택을 유도해 저출산을 심화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교육열과 저출산 간 연관성을 분석하기 위해 중산층 배경의 신혼부부 2쌍, 유자녀부모 7명을 대상으로 자녀계획과 양육방식에 관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저출산을 유발하는 동인은 경제적 요인 및 보육ㆍ교육 환경 관련 요인으로 드러났다. 학력주의와 노동시장 상황이 거시적 제약요인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기혼자들은 ‘하나도 키우기 힘든 현실’을 토로하였고, 일부는 ‘의도적 무자녀’를 선택하기도 하였다. 또한 사교육을 통해 자녀의 성공과 출세를 추구하고자 하는 부모들은 추가적인 출산을 포기하면서 ‘24시간 자녀와 떨어질 수 없는 엄마’의 육아 스트레스를 호소하였다. 한편 한 자녀 부모들은 모든 양육자원을 한 자녀에게 집중하는 ‘올인(all-in)’식 투자를 보이는 경향이 있었고 ‘최고와 명품’ 교육기관을 선택하면서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반면 두 자녀 부모들은 제한된 양육자원을 재구조화하고 재배분하는 전략을 활용하고 가성비를 추구하는 경향을 보였다. 내 자녀만 뒤처질 수 없다는 불안감에 사로잡혀 최선의 것을 제공하고자 하는 한 자녀 부모들의 양육행태는 저출산 현상을 고착화시키는 일종의 ‘속박’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였는데, 이는 계층 간에 위화감을 조성할 공산도 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간략하게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The single most important cause of the low fertility rate of Korean society is excessive child-rearing costs, which is closely related to education fever. Parents’ desire for high-achieving children tends to lead couples to have fewer children in order to offset the higher child-rearing cost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fever and low fertility rate by interviewing newlyweds and couples with children. Our results showed that the drivers of low fertility were economic factors and factors related to childcar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With educational attitudes and labor market conditions serving as macro constraints, married couples complained of the “harsh reality of raising even one child,” and some admitted of being intentionally childless. It was also revealed that parents who plan for their children’s success through private tutoring have given up having additional children, and complained about the child-rearing stress of the “on-duty 24-hours mom.” Also, parents with only one child tended to choose an “all-in” investment approach that focuses all of their parenting resources on the only child to provide him with “differentiated” programs from “the best and the finest” educational institutions. On the other hand, couples with two children showed a tendency to utilize a strategy of restructuring and redistributing their limited parenting resources in order to maximize their potential. Parenting behaviors fueled by the anxiety that their child could possibly fall behind can be understood as a ‘bondage’ which worsens the low birth rate phenomenon. This in return causes a sense of incongruity between the social strata. Based on the results of our study, we briefly discussed policy implic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