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전 시문과 회화를 통해 본 연(Nelumbonucifera)의 활용과 애호 행태 (Utility and Care Patterns of Lotus Shown in Classic Poetries and Proses, Painting)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1.12
13P 미리보기
고전 시문과 회화를 통해 본 연(Nelumbonucifera)의 활용과 애호 행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29권 / 4호 / 1 ~ 13페이지
    · 저자명 : 김명희, 홍형순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옛사람들이 ‘연’이라는 식물소재를 활용한 방법과 그로부터 취하고자 했던 가치와 의미, 감상 태도 등에 대한 실제적 사례들을 고찰하는데 있다.이를 위한 연구의 방법은 연에 대한 감상과 관념세계가 반영된 시문과 회화를 고찰하고 해석하는 기술(description)적 연구방법이 사용되었다.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연의 관상 가치는 대규모 집단식재와 부지규모의 소규모 식재,분연(盆蓮)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특히 대규모 면적에 집단적으로 식재된 연은 여타의 초화류와 차별화되는 독특한 경관을 제공하였다.별서와 후원 등 사적인 공간에 연지를 조성하고,연을 애호한 여러 사례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이러한 장소는 연이 개화할 무렵에 아회의 장소 등으로 활용되었다.작은 연지조차 조성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분지를 이용하여 연을 즐기기도 하였다.또 꽃과 잎,줄기와 연밥 등 세부요소 모두의 관상가치가 뛰어난 점은 연의 또 다른 특징의 하나로 볼 수 있다.
    둘째,주돈이의 ‘애련설(愛蓮說)’에 ‘향원익청(香遠益淸)’으로 표현된 향기는 연의 중요한 매력 중 하나이다. 전통정원에 있어서 연은 향기를 제공하는 후각적 요소로 활용되었다.옛사람들은 연의 향기를 단순히 즐기는 것에 더해 ‘군자의 품격’에 비유되는 상징물로 여겼으며,이를 시문과 그림으로 표현하였다.
    셋째,연은 청각적 요소로도 활용되었다.즉,수면과 넓은 연잎에 빗방울이 어우러져 내는 소리를 ‘연당청우(蓮塘廳雨)’또는 ‘하당야우(荷塘夜雨)’라 하여 운치 있는 소리로 즐겼다.
    넷째,연꽃을 구경하는 여름놀이를 ‘세속에 오염된 마음을 씻는다’라는 의미의 세심(洗心)놀이라고 하였다, 이러한 풍류는 일반 서민들로부터 왕가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계층이 즐겼다.이밖에 연과 관련된 풍류로 큰 연잎과 속이 빈 줄기의 특징을 이용하여 술을 마시는 방법인 ‘벽통주(碧筒酒)’혹은 ‘하심주(荷心酒)’,상비주(象鼻酒)가 있다.또 유교의 영향으로 남녀유별이 엄격하던 조선시대에 연밥과 ‘채련곡’은 남녀 간의 연애감정을 표현하기 위한 중요한 기호(記號)가 되기도 하였다.따라서 많은 ‘채련곡’이 전해지며,남녀 간의 애정을 묘사한 여러 풍속화에는 연당이 배경으로 등장한다. 연은 고대 이래로 사상과 종교 등 문화적 배경을 초월해 폭 넓은 계층이 애호하여 왔다.이러한 연유로 인해 연이 갖는 다양한 상징적 의미와 사찰 등 종교시설과 관련된 식재 사례를 다각적으로 고찰하지 못한 점은 본 연구의 한계이며 추후 연구과제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practical examples of the method of utilizing plant material ‘lotus’ used by the ancients, and the value and meaning they wanted to get from it. The method of this study to do this is descriptive study to consider and interpret poem and painting reflecting impression and concept world of lotus.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ornamental value of lotus could be divided in effect of group plant and detail value held by the flower, the leaves and the stem. Especially, group plant lotus in large site provides unique landscape differentiated form other flowering plants. As well, another feature of lotus is its high ornamental value spread in detail elements including the flower, the leaves, the stem and the lotus seed.
    Second, fragrance expressed ‘Hyang- won- ik-cheong(香遠益淸)' is an important charm of lotus. Lotus was utilized as olfactory element providing fragrance. The ancients considered lotus fragrance not only for enjoy but as symbolic object comparing noble man’s dignity so that they expressed it in poem and painting.
    Third, lotus was utilized as acoustical element. That is, the sound of raindrops harmonizing the surface of water and wide lotus leaves was called ‘hearing lotus fond and rain’, enjoying it as classic grace.
    Fourth, summer play lotus sightseeing was called mind wash up meaning ‘washing the mind polluted by the mundane world’. Such poetic taste was widely enjoyed by various classes from general public to royal family. Besides, poetic taste related with lotus is the method of drinking alcohol using the feature of big lotus leave and vacant stem, called ‘Beog-tong-ju(碧筒酒)’. And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whe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man and the woman influenced by Confucian, lotus seed and ‘lotus collecting song’ was important sign to express romance between man and woman.
    Lotus has been enamored by wide classes transcending cultural background as thought and religion since ancient times. Due to such reasons, various symbolic meaning of lotus and planting examples related to religious facilities as temples could not be considered in various manner is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which is research project for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전통조경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