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유학의 원칙론과 가변상황의 역할론 (A Principle theory and A Situation theory of Confucianism)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10 최종저작일 2011.09
32P 미리보기
유학의 원칙론과 가변상황의 역할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59호 / 497 ~ 528페이지
    · 저자명 : 이석주

    초록

    한유의 경권론이 단지 ‘反經合道’에 국한해서 이해되고, 특히 ‘반경’의 의미를 ‘경도를 위배하다’라는 해석으로 일관되면서 경과 권을 分離의 관계로 이해함으로써 발생된 오해는 송대에 이르기까지 지속되었다. 또한 정이의 ‘權只是經’은 경과 권을 不離와 不異의 관계에서만 해석할 뿐 정이의 경권에 대한 또 다른 측면의 이해는 그다지 주목받지 못했다.
    주희가 한유와 정이의 경권론을 이해하기 위한 총체적인 시도를 다음 두 측면에서 이해해 볼 수 있다. 첫째, 한유의 경권에 대한 分離說을 ‘道之變’을 토대로 설명했고, 또한 정이가 경권에 대한 不離說을 ‘道之常’으로서 이해함으로써 이로부터 양자의 논리적 모순을 극복할 수 있었다. 다만 한유의 경권론은 단지 분리설에 국한되지 않았고, 이같은 폐단을 해결하기 위한 한유의 노력이 있었음에도 정이와 주희가 이를 간과하면서 오해와 오류를 범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겼다. 둘째, 주희가 경과 권을 不離와 分離의 의미로 해석하면서도 한유와 정이의 논지를 그대로 반영할 수 있는 의미를 ‘中道’ 또는 ‘時中’을 통해서 모색했다. 다만 일정하지 않은 가변적인 일의 상황과 사태가 ‘義’에 부합될 때 비로소 권도를 실천하는 것이며, 이를 곧 時中의 의미로 파악했다. 하지만 ‘시중’은 시공의 제약인 ‘時’에 따라서 조치를 취한 이후에 비로소 中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中卽道’이면서 권도와는 변별된다.
    이처럼 한유로부터 정이와 주희에 이르기까지 경권론은 단지 不離의 의미에 국한되지 않고, 分離의 의미까지 포괄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경권론에 대해서 가졌던 오해를 바로 이같은 논점을 전제로 해서 해결할 수 있었다. 이것이 바로 주희가 제시했던 ‘道之變’과 ‘道之常’을 통섭하는 ‘道是箇總體’를 통해서 가능했다.

    영어초록

    I think in the following meaning for a figure of trial that zhū xī recognizes chéng yí and jīng quán lùn of the Chinese Confucian scholar from a way generally and am seen.
    One, chéng yí express aspect jí shuō of jīng quán in the meaning of the dào zhī cháng; and again difference for jīng quán of the Chinese Confucian scholar in dào zhī biàn; when do it, can transcend the logical contradiction of both.
    Two, Fǎn jīng means that this does equivalence of jīng and quán when it is not violated the way while transcending both again when there is the way which can unify this both while two, zhū xī understand jīng and quán as a relative meaning in jīng and quán However, there is that I overlook two point at issues to analyze jīng and quán of zhū xī and the meaning of the way. I am new by a Chinese Confucian scholar and a point at issue of zhū xī for chéng yí above all to understand that I transcend this while I am dark, and zhū xī obeys it by logical contradiction through Chinese Confucian scholar and jīng quán lùn of chéng yí,and a way is again in jīng quán and approach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