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정의 ․ 형평과 효율:민사법의 경제분석에 국한하여 (Justice, Fairness and Efficiency in Economic Analysis of Private Law)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20.04
14P 미리보기
정의 ․ 형평과 효율:민사법의 경제분석에 국한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경제학회
    · 수록지 정보 : 법경제학연구 / 17권 / 1호 / 1 ~ 14페이지
    · 저자명 : 이동진

    초록

    법경제학의 발전과 현실적용에는 법학자 ․ 법률가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그런데 다른 나라에서 그러한 것처럼, 우리나라에서도 이에는 몇 가지 걸림돌이 있다. 법경제학이 법의중요한 가치인 정의 ․ 형평을 고려하지 아니하거나 종종 그에 역행하면서, 그동안 법의 중요한 가치로 꼽히지 아니한 효율, 특히 경제적 효율만을 앞세운다는 인식도 그러한 걸림돌중 하나이다. 이러한 인상이 전적으로 잘못된 것이라고 할 수는 없다. 경제학은 이론적으로 경제적 효율, 특히 부(富)가 아닌 다른 가치를 수용할 수 있지만 여러 이유에서 많은경우에 그러한 가치보다 경제적 효율, 특히 부(富)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기도 한 것이다. 다른 한편, 정의나 형평이 그 자체 중요한 가치, 법적 가치라는 점도 부정할 수 없다. 그러나 수범자에게는 법적 제재도 하나의 유인(incentive)이고, 특히 사적 자치가 지배하는민사법의 영역에서는 수범자가 법적 제재를 회피하는 일이 실제로 흔하다. 정의나 형평을추구하는 법규점이 종종 자기배반적인 결과를 낳거나 적어도 매우 비효율적이고 더 큰 부작용을 낳는 이유이다. 나아가 거시적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제도적 결단 중 상당수는 미시적 정의 ․ 형평으로는 잘 설명되지 아니하고 오히려 경제적 효율성의 관점에서 잘 이해될 수 있다. 근래 들어 경제적 효율의 관점에서 잘 이해될 수 있는, 주로 미국법의 영향을받은, 법제도가 늘고 있기도 하다. 무엇이 옳은가 하는 문제는 그것을 어떻게 달성할 것인가, 그리고 어떻게 잘 달성할 것인가 하는 문제와 완전히 분리되지 아니하고, 제법 많은경우 후자가 전자를 압도한다. 법경제학은, 법학자 ․ 법률가의 입장에서는, 바로 뒤의 영역에 대하여 주의를 환기하고, 좀 더 섬세한 분석 및 검증수단을 제공한다.

    영어초록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aw and economics presupposes participation and contributions of lawyers and legal academics. Traditional lawyers and legal academics might, however, have some reluctance to adopt economic methodology in analyzing legal issues for reasons, one of which seems to be a suspicion that economics emphasizes only efficiency and wealth and does not consider justice and fairness which are core values in law. This suspicion has its own right because most economic analysis has focused on efficiency and wealth. Economics can accommodate other values and should, but has not actively thus far. Still, economic analysis of law is very useful for lawyers and legal academics, and to a certain extent, the fact that economics has focused overwhelmingly on efficiency and wealth is the very reason why it can contribute to legal scholarship. Law and policy that sees only justice and fairness as its goal and does not reckon the incentive structure it creates frequently proves to be self-defeating or at least non-operative while incurring costs and wastes. It is for those who are subject to that law and policy can and might well avoid it, especially when it comes to private law matters where the paramount principle is private autonomy. In this situation, justice and fairness is frequently overwhelmed by efficiency concerns so that sometimes justice and fairness cannot even be pursued directly. Moreover, the most fundamental institutions in private law including the notion of simple and undividable property and the fault principle can be analyzed adequately in terms of economic efficiency rather than in terms of justice and fairness. Law and economics can be a useful tool to remind lawyers and legal academics the importance of how rather than for what and to analyze the possible responses or outcomes, which lawyers and legal academics also should be interested i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경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