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동체와 커뮤니케이션 - 그 역설적 관계에 관하여 - (Community and Communication – A Paradoxical Relatio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9 최종저작일 2016.09
28P 미리보기
공동체와 커뮤니케이션 - 그 역설적 관계에 관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범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범한철학 / 82권 / 3호 / 85 ~ 112페이지
    · 저자명 : 장춘익

    초록

    사회이론에서 공동체 개념은 근대사회의 특징을 부각시키기 위한 대비 개념으로 도입되었다. 다른 한편 급진적 사회 비판에서 공동체 이상은 마르크스로부터 근래의 네그리/하트 류의 코뮨주의에 이르기까지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대안을 찾을 때 가장 중요한 준거점 역할을 해왔다. 하지만 나는 공동체 개념이 근대사회를 파악할 때 좋은 출발점이라고 생각하지 않으며, 공동체가 근대사회의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도 생각하지 않는다. 오히려 역으로, 근대사회에 대한 보다 정확한 파악으로부터 공동체 개념을 새롭게 구상하고 그것이 근대사회에서 어떻게 배치될 수 있을지 실험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더 유망한 길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제안하는 것은 사회 개념을, 그러니까 공동체 개념과 근대사회 개념 모두를, 커뮤니케이션 개념과 관련지어 고찰하자는 것이다. 커뮤니케이션의 어떤 구조와 동학이 우리가 ‘공동체’라고 부르는 사회적 연관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어떤 지점에서는 더 이상 (거의) 불가능하게 하는지를 물어볼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커뮤니케이션 문제로부터 접근하면 근대사회에서 공동체와 관련된 역설적 상황을 보다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그리고 그런 역설을 해소하는 방향으로 공동체 개념을 다시 구상할 수 있는 길도 모색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영어초록

    In der gesellschaftstheoretischen Diskussion ist der Begriff ‘Gemeinschaft’ einerseits als ein Abgrenzungsbegriff für die Charakterisierung der modernen Gesellschaft eingeführt worden. Das Gemeinschaftsideal hat andererseits im Umkreis radikaler Gesellschaftskritiker von Marx bis Negri/Hart in jüngster Zeit, als wohl wichtigste Ressource für die Konzipierung einer Alternative zur modernen kapitalistischen Gesellschaft gedient. Ich sehe allerdings die ‘Gemeinschaft’ weder als einen angemessenen Ausganspunkt für die theoretische Erfassung der modernen Gesellschaft noch als ein alternatives Modell des sozialen Zusammenlebens in normativ-praktischer Hinsicht. Vielversprechend scheint es mir eher, den Gedankengang in umgekehrter Richtung zu verfolgen. Man sollte also zuerst die Merkmale der (modernen) Gesellschaft genauer erfassen, um daraufhin die Gemeinschaft begrifflich zu konzipieren. Bei dieser Interpretation des Begriffpaars Gemeinschaft vs. Gesellschaft gehe ich von der Idee aus, dass sowohl das Erstere als auch das Letztere als Kommunikationsgefüge zu begreifen ist. Ich frage dann, welche Strukturen und Dynamiken der Kommunikation das als ‘Gemeinschaft’ zu bezeichnende Kommunikationsgefüge überhaupt zustande bringen und von welchem bestimmten Punkt an dieses dann überfordert wird, so dass das soziale Ganze nicht mehr von ihm repräsentiert wird. Das Kommunikationsmodell der Gesellschaft wird sich, so meine ich, als eine ausgiebige theoretische Grundlage zur Neudefinition des Gemeinschaftsbegriffs erweisen. Es wird uns aus den mit diesem Begriff verbundenen Paradoxen herausführen und uns schließlich dessen Neukonzeptualisierung in Aussicht stell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범한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