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40년대 평양의 도시개발사업을 통해 본 도시공간의 연속과 단절 (The Continuity and Separation of Urban Spaces as seen through the Urban Planning of 1940s Pyongyang)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21.02
38P 미리보기
1940년대 평양의 도시개발사업을 통해 본 도시공간의 연속과 단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민족문화연구 / 90호 / 491 ~ 528페이지
    · 저자명 : 김태윤

    초록

    도시는 역사가 만든 여러 가지 이미지들이 쌓이는 저장고와 같은 공간이다. 이러한 공간의 형성과정은 마치 옛날 것을 지우고 새로운 것을 덮어씌우는 ‘팔림프세스트(Palimpsest)’와 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도시를 구성하는 여러 요소들은 각 시대의 흔적을 남기며 어떤 것을 어떻게 지우고 무엇으로 덮어씌울 것인가는 언제나 그 공간의 살아가는 당대 사람들의 고민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공간의 특성과 역사의 연속적인 측면을 염두에 두고 해방 직후 평양의 도시계획을 1940년대라는 스펙트럼 속에서 분석하였다.
    해방 직후 평양의 도시정비사업은 일제시기 미완으로 그쳤던 여러 토목공사와 택지사업을 완성하는 방식이었다. 노동력 동원 또한 일제시기 의무동원방식과 비슷한 <의무노동동원령>을 시행함으로써 국민들에게 ‘자발적’으로 노동력을 제공하게 하였다. 단기간에 많은 노동력을 동원하여 결국 해방 직후 북한은 여러 토목공사들을 빠르게 완수하였다. 국가건설과정에서 ‘일제청산’을 강하게 강조했었던 북한이 일제시기와 노동력 동원방식에 변화를 만들지 않았음에도 국민들의 동요가 없었던 이유는 모든 토목사업이 ‘민중을 위한 것’임을 시사했기 때문이다. 해방 직후부터 북한은 국가의 전 분야에서 ‘일본제국’을 거둬내고 ‘민주’라는 단어를 내세워 국가의 주인이 민중임을 선전하였다. 국가의 하드웨어적인 부분을 식민지기와 연속적으로 실시하면서도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에서는 완벽한 단절을 주장하면서 ‘민주도시 평양’과 국가를 만들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e city is a space akin to a storehouse where the various images created by history accumulate. The process of forming such a space can be described as a palimpsest where the old is erased and the new is covered over. Likewise, the various elements forming the city leaves traces of each era, and what will be erased and what will be covered over are always determined by the deliberation of the people of the time living in that space. The present study analyzed the urban planning of Pyongyang post-liberation from within the spectrum of the 1940s while keeping in mind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and the aspects of historical continuity.
    The urban redevelopment projects of Pyongyang post-liberation involved completing the various civil engineering and housing site development projects which were unfinished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By executing a compulsory labor mobilization order similar to compulsory mobilization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North Korea forced its people to ‘voluntarily’ provide labor. Thus, North Korea was able to quickly finish various civil engineering projects post-war by mobilizing a large workforce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Even though North Korea maintained the same workforce mobilization methods as that of imperial Japan despite strongly emphasizing the clearing away of the remnants of Japanese rule in its national building process, the people did not waver because it was implied that all civil engineering projects were ‘for the people’.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North Korea propagandized how the sovereign of the nation was the people by removing the ‘Empire of Japan’ in all areas of the nation and asserting the word ‘democracy’ in its place. By maintaining a continuity with the colonial era in terms of the hardware of the nation while asserting a complete separation in terms of its software, North Korea was able to build the ‘democratic city Pyongyang’ and the 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민족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