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시산업 지원정책 해외 사례 연구 - 독일과 미국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Analysis of Exhibition Industry Support Policies: Case Study of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6.08 최종저작일 2023.06
23P 미리보기
전시산업 지원정책 해외 사례 연구 - 독일과 미국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무역전시학회
    · 수록지 정보 : 무역전시연구 / 18권 / 2호 / 21 ~ 43페이지
    · 저자명 : 김영선, 김봉석

    초록

    현재 전시산업은 급격한 기술의 발달,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의 영향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을 맞이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시산업의 빠른 회복과 지속적인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전시산업 지원방안의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며, 이를 위해 독일과 미국의 전시산업 지원방안의 사례를 통해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독일의 경우 연방정부와 개별 연방 주에서 독일기업의 국내외 전시 참가를 지원하고 공적자금 제공 및 특별 지지원을 통해 독일기업이 국내외 시장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지원금은 주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하며, 전시산업을 담당하는 독일전시산업협회(Association of the German Trade Fair Industry, AUMA)와 관련 산업의 교육 훈련과 정보제공, 컨설팅과 같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무역박람회 산업 연구소(Institute of the German Trade Fair industry)가 정부 및 관련 기관과 협렵하여 전시산업 지원 정책을 수행하고 있다.
    한편, 미국의 전시산업은 상무부(U.S Department of Commerce) 산하 국제무역청(ITA, International Trade Admnistration)에서 담당, 무역전시회의 경우 수출 진흥 서비스(Export Promotion Services)를 통해 미국관 설치 및 바이어 유치 등을 지원, 일반전시회의 경우 ITA 산하 Tourism Industries Office of Trade Development에서 인증, 허가, 진흥 등을 담당하고 있다. 연방정부나 주정부에서 일반적인 차원의 지원을 시행하며, 전시장 시설보수 및 확충을 위한 재정지원, 장소임대료 인하 등을 통해 전시회 개최를 지원하는 외부 여건을 마련하고 있다. 전시회 개최는 민간협회나 단체, 전시주최자가 전적으로 책임지고 있는 구조로 전시장 운영기관과 전시주최자가 완전히 이원화된 관계이며, 전시장은 주정부, 시정부 차원에서 건립 및 운영되고 있다.
    조사결과 우리나라의 지원정책과 수행은 모두 정부나 기관 위주로 시행되었으나 독일과 미국의 경우 협회와 같은 민간 부문이 정부, 기관과 긴밀한 협력관계를 가지고 전시산업의 변화에 대응하는 지원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전시산업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세심한 정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is thesis explores the exhibition industry support policies implemented in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as potential models for enhancing the support plan in Korea. Currently, the exhibition industry has faced a new paradigm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the impact of the pandemic caused by COVID-19. In this situation, it is time to improve the exhibition industry support plan to quickly recover the exhibition industry and continuously enhance competitiveness, and to this end, it was intended to provide implications through the examples of exhibition industry support measures in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In the case of Germany, the federal government and individual federal states supported German companies' participation in domestic and foreign exhibitions and made it easier for German companies to access domestic and foreign markets through public funding and special support. The subsidies are mainly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nd the Association of the German Trade Fair Industry (AUMA), which is in charge of the exhibition industry, and the Institute of the German Trade Fair Industry, which operates various programs such as education, training, and consulting.
    Meanwhile, the U.S. exhibition industry is in charge of the International Trade Administration (ITA) under the U.S. Department of Commerce (U.S. Department of Commerce), which supports the installation of U.S. theaters and buyers through Export Promotion Services. The federal or state governments provide general support, and external conditions are provided to support the holding of exhibitions through financial support for the repair and expansion of exhibition hall facilities, and reduction of venue rent. The exhibition is entirely responsible for private associations, organizations, and exhibition organizers, and the exhibition hall is completely dualized, and the exhibition hall is built and operated by the state and city governments.
    As a result of the survey, Korea's support policies and implementations were implemented mainly by the government and institutions, but in Germany and the United States, the private sector, such as the association, wanted to provide support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exhibition industry.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t was necessary to prepare step-by-step and systematic support measures and to prepare careful policies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exhibition industry enviro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3 오전